233 0

최종 체절 공사의 시공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Title
최종 체절 공사의 시공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Method on Final Closing Section of the Sea Dike
Author
강성해
Alternative Author(s)
Kang, Seong Hae
Advisor(s)
서종원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계획이 수립되면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차원에서 본격적인 간척사업이 이루어져 방조제 축조공사가 증가하였고, 주로 아산만방조제, 삽교천방조제, 대호방조제, 석문방조제, 시화방조제, 새만금 방조제등 대형 간척사업이 진행 되었다. 방조제 공사의 완성도는 최종 물막이 공사(최종체절공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공정의 절대공기가 짧고 주변 환경에 민감하여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최종체절은 공사 시 계획수립부터 시공이 완료된 이후까지 내적, 외적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프로젝트 공사비와 공사기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최종체절공사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며 이와 관련된 자료체계가 미비하여 시공 시 예측 불가한 상황에 의한 시행착오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종체절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제체 안정성 등에 대한 자료이며, 시공관리에 대한 리스크의 중요도와 리스크별 대응방안, 대응방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등이 개발되어 적용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종체절 공사의 시공 리스크를 전문가와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젝트 단계별로 식별한 후, 중복되는 요인을 제거하여 세부 항목별로 최종 리스크 인자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리스크 인자에 대하여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하여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또한, 미리 파악된 리스크 요소에 대하여 프로젝트 단계별 대응 방안을 구축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대응방안 기반의 체크리스트와 도출된 리스크 인자 기반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리스크 절감 방안을 제시하였다.; By being established economic development plan since 1960’s, breakwater construction increased because a reclamation project was begun in earnest. And reclamation project such as Sae Man Keum is being carried forward. Completion time of breakwater construction is influenced by construction of final closing section, it influence project largely because construction duration is long and sensitive by surround environment. The construction of final closing section has many uncertainty and instability so it significantly influences construction cost and duration on project. But this study found a lack of understanding for risk management of final closing section construction and that information system is incomplete. Also, information of final closing section is mostly stability for dam body and there is no example about checklist which effectively performs response for each risk and risk’s status about construction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risk factor on project process through interviewing with expert and survey at constructing final closing section of the sea dike. And then I remove duplicate factor and identify final risk factor lastly. This study found impact on project which is risk status through calculating status by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identified risk factor. Also, this study made response system on project process for identifying risk factor in advance in order to perform project successfull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method of risk reduction by developing checklist based on finally selected response and identified risk fact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6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4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