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0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Title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Drama Education Program for Poor Preschool Children
Author
신동인
Alternative Author(s)
Shin, Dong In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첫 번째 연구목적인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의 다섯 단계를 거쳤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자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관련 선행연구, 빈곤아동의 정의, 미취학 빈곤아동의 발달적 특성,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로서 ‘구성주의’를 선정하고 기본적인 적용방안을 설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구성주의에 의한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구조, 목표, 주요 기법 및 내용을 설정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총 16 셋션으로 구성된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셋션 별 구체적인 진행내용과 기법을 기획하였다. 셋션 별 진행내용은 워밍업으로 인사, 이름게임, 오리엔테이션을 구성하였고, 주요 활동으로는 그림책을 기반으로 한 연극 활동을 구성하였다. 그림책을 기반으로 한 연극 활동에서는 총 8종의 그림책(『팥죽 할멈과 호랑이』, 『아기돼지 삼형제』, 『무지개 물고기』, 『파란개구리 빨간개구리』, 『도깨비 감투』, 『오즈의 마법사』, 『은혜갚은 두꺼비』, 『벌거벗은 임금님』)이 선정되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이를 상호작용적 연극교육활동으로 재수정한 후 연극교육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그림책을 기반으로 한 연극 활동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상상놀이, 노래와 춤을 활용한 의식활동, 팬터마임, 가상공간의 설정, 구조화된 전체집단 역할연기, 역할 속 교사, 전문가의 외투 등의 진행기법을 활용하여 구성되었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교육 및 연극교육 전문가 3인으로부터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해 개발된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타당도 검증결과, 대부분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진행기법이 만 5세 아동에게 적합한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일부 미진한 내용만 수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구성주의라는 이론적 근거와 광범위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완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목적은 만 5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실증적인 효과성을 통계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비교설계(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활용하였다. 먼저 어린이집 한 곳을 임의표집에 의하여 선정한 후, 한 곳에서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대상자들을 선정하였다. 이어서 아동의 이름 순서대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척도검사를 실시하고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후척도검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미취학 빈곤아동의 언어표현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표현력의 하위 영역인 단어 수, 문장 수, 이야기내용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가설 1>로 설정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의 언어표현력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보다 향상될 것이다’ 는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미취학 빈곤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도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가설 2>로 설정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의 정서지능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보다 향상될 것이다’는 검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미취학 빈곤아동의 창의성 향상에도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상상력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위영역 중 하나인 독창성의 경우에는 본 연구의 연극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가설 3>으로 설정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의 창의성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미취학 빈곤아동들보다 향상될 것이다’ 는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연구목적은 본 연구의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 등을 관찰 및 분석하고 진행자로서의 실행경험 등을 토대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보다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기간과 횟수는 다소 짧은 경향이 있었고 이 기간을 통해 여러 가지 측면의 발달적 향상을 도모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평가가 있었다. 시행기간을 좀 더 장기적으로 하고 횟수도 조정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둘째,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은 진행자 1명에 보조진행자 2명으로 진행되었지만, 한 클래스의 대상인원이 22명이었으므로 다소 무리가 있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만 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인원은 주 진행자 1인에 보조진행자 1인과 아동 11-12명 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론적 근거로 구성주의에 기반하여 개발된 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방안과 기법은 아동의 언어표현력, 정서지능,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대상자들의 반응과 만족도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진행자와 보조진행자의 역할과 기법은 대체적으로 잘 수행되었다고 평가되었으나, 미래에는 좀 더 철저한 사전교육 및 준비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해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이들의 언어표현력, 정서지능,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미취학 빈곤아동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더 많은 미취학 빈곤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교육 프로그램들이 계속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 미취학 빈곤아동, 연극교육 프로그램, 언어표현력, 정서지능, 창의력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5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