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2 0

의사결정 매트릭스를 활용한 국내 초고층 프로젝트의 CM 조직 구성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의사결정 매트릭스를 활용한 국내 초고층 프로젝트의 CM 조직 구성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cision Method for CM Organization of Skyscraper Projects in Korea using the Pugh-Matrix
Author
임재복
Alternative Author(s)
Lim, Jae Bok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국내에서도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인 초고층 프로젝트 사업만 7건 이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업의 규모가 대형 일수록 사업의 성과는 사업 전체를 관리하는 사업관리 조직의 적절한 구성과 이에 따른 발주자의 의사결정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나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초고층건축물을 가지고 있음에도 우리나라 기술진 주도로 기획단계에서부터 최종 시운전까지 순수하게 완공한 전례가 없고, 시공능력을 제외한 프로젝트의 관리능력은 경험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관련 법규나 제도 등이 준비되지 않아 그 수준이 부족하다. 현재 국내에서 다수의 초고층 프로젝트가 계획 혹은 진행 중인 점을 감안할 때, 위험성을 감수하더라도 국내 인력만으로 사업관리를 수행하거나 혹은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전적으로 외국 인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초고층 관련된 국내의 수준을 고려할 때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의 입장에서 초고층 프로젝트의 CM 조직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거쳐야 할 절차와 영향 요소, 그리고 평가 및 선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발주자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에 계획 혹은 진행 중인 초고층 프로젝트의 CM 조직 구성에 따른 사업관리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내 PM/CM업체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경우와 해외 PM/CM업체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경우, 그리고 국내 및 해외 CM업체가 J/V형식으로 CM업무를 수행하는 크게 3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이들 각 조직 구성에 따른 운영 방식은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당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CM 조직 구성에 대한 의사결정이 우선적으로 내려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주자의 의사결정 모델을 참고하여 국내 초고층 프로젝트의 CM 조직 구성 결정에 관한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발주자는 CM 조직 구성 결정에 관하여 다양한 대안을 수립하고, CM의 업무 수행 범위에 따른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와 효용도를 평가하여 최종적인 조직 구성에 따른 성능치를 분석함으로써 적정 대안을 선정하게 된다. 국내 초고층 프로젝트 ‘S 타워’의 CM 조직 구성 결정에 관하여 앞서 제시한 결정 방법 및 기준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CM/PM 업체와 해외 CM/PM 업체가 J/V형식으로 수행하고 CM 용역 발주 시 감리업무를 통합 발주하는 형식의 대안이 가장 높은 성능치를 나타내었으며, 대안을 적용한 결과 용역비 절감 및 조직구성 개선, 현장 시공계획 개선 및 향상,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기술 공유 및 축적의 용이, 현장여건을 반영한 공정계획 개선 등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