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7 0

수묵화 원작을 활용한 중국 수묵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Title
수묵화 원작을 활용한 중국 수묵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inese Water-ink Animation in the Use of Original Ink Paintings: Focusing on
Author
김윤아
Alternative Author(s)
Kim, Yoon Ah
Advisor(s)
박상천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제백석(齊白石)의 수묵화를 원형으로 제작된 최초 수묵 애니메이션인 특위(特偉) 감독의 <엄마 찾는 올챙이>와 제백석의 회화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원작에서 애니메이션으로의 장르 전환의 상호 작용과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수묵화는 먹을 주재료로 농담(濃淡)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인물, 동물, 자연 등을 표현하는 회화매체이다. 또한 수묵화는 중국 뿐 아니라 동양을 대표하는 회화매체로서 자리매김하며 동양인들에게는 친근감을, 서양인들에게는 신선함과 독특한 동양의 세계관을 전달한다. 첫 수묵 애니메이션의 원형이 되는 제백석의 수묵화는 전통을 계승하고 재인식하며 시대와 대중 그리고 전통을 하나로 융합한, 시대가 요구하는 독창적인 화풍을 창출하였으며, 현대에 전통계승의 여지를 마련해 주는 교량 역할을 하여 개인적인 업적을 초월한 회화사의 큰 업적을 달성하였다. 이러한 제백석 작품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소재면에서도 교육적인 내용을 전달하기에 적합하였으며, 민족화에 앞장서던 중국의 상황에 힘입어 첫 번째 수묵 애니메이션의 원형이 되었다 판단한다. 수묵 애니메이션은 중국의 예술가들이 창조해 낸 새로운 기법의 애니메이션이다. 전통적인 표현매체인 수묵화에서 출발해 특수한 애니메이션 촬영 기술을 통해서 역동적인 수묵화 영상을 스크린에 표현한다. 시각 이미지로 서로 소통하는 회화와 애니메이션이 결합되어 한 작품을 이루었을 경우, 회화는 많은 대중들을 통해 사랑받고 긴 시간 오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회화 작품의 개성을 얻는 것과 동시에 양질의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다. 수묵 애니메이션 <엄마 찾는 올챙이>는 중국의 첫 번째 수묵 애니메이션이다. 민족화의 중요성을 제창했던 당시, 중국의 정치적인 문화 정책적 상황과 무한한 문화자원과 인력, 그리고 시간이 뒷받침 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 장르의 한국적 적용의 시사점을 순수 예술적 측면에서 미디어아트로의 확산, 만화 ․ 애니메이션․ 게임과 같은 문화콘텐츠 산업에서의 적용과 한국적 변용, 산업광고와 같은 영역에서의 활용성을 점검 해 보았다.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은 중국 뿐 아니라 전 세계가 인정한 독특한 표현 양식이다. 동양화의 전통과 기법을 공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한국적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영역을 확보하고 이를 글로벌콘텐츠로 확산 시킬 수 있는 타산지석의 문화적 교훈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aims for researching the process of interaction for genre conversion focused on comparing Qi Bai-Shi’s water-ink painting and Te wei’s , the first water-ink animation, based on Qi Bai-Shi’s original work. Water-ink painting is the media expressing human, animal, and nature with various ways by the degree of light and shade. It also has the position representing Asia as well as China, giving Asians closeness and Westerners freshness and original Asian view of the world. Qi Bai-Shi’s water-ink painting, which the first water-ink animation is based on, created creative style of painting, which succeeds and takes another look at tradition, and unites age, popularity, and tradition, meeting the demand of the time. And it played the role as a bridge offering the scope to succeedtradition and achieved in history of arts, above the individual work. His works are popular and has an appropriate material to deliver educational contents, and became the first archetype of water-ink painting animation, supported by Chinese situation leading nationalism. The water-ink painting animation has the new method created by Chinese artists. They express the water-ink painting, the traditional media, with special animation photographing technology dynamically into screen. When painting and animation are united for one work, painting can be loved by public and survive for long time, and animation can get the characteristic of the painting work and be born again with good quality. is the first water-ink painting in China. It could be possible when supported by unlimited cultural asset, human power for long time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 that China advocated the importance of nationalism. Those are researched in this study, expanding from the pure art to media art, adapting it into cultural contents business such as comic book, animation, and game, modifying it into Korean one, and using in the field of commercial advertise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of Chinese water-ink painting. Chinese water-ink painting was appreciated by the world as well as China itself as creative work. If the result is used in Korea, which shares tradition and method of Oriental painting with China, it can secure the field of new cultural contents based on Korean tradition and expand as global cont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1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E &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