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6 0

입체도시계획 활성화를 위한 계획기법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Title
입체도시계획 활성화를 위한 계획기법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nning Techniques and Regulatory Improvements for Enhancing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Author
이종원
Alternative Author(s)
Lee, Jong-Won
Advisor(s)
이주형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수평으로의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도심공동화를 방지하고 위락기능, 업무기능, 주거기능 등을 모두 갖춘 그 자체로 완결적인 도시를 계획하는 것이다. 제도적인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현행 제도상 국유재산에 사권설정을 금함으로써 지하도로 및 고가도로의 상․ 하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이다. 둘째, 획일적인 기반시설 설치 기준이다. 현행 법령에서는 주차장이나 공원․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신시가지나 신도시건설을 통한 도시의 외연적 팽창이 교통량 증가 등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신도시 개발보다는 구도심 재생을 통해,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기존의 물리적 환경개선 위주의 기성시가지 재개발에서 벗어나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구도심을 재활성화 할 수 있는 도시재생이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삶의 질이나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을 통한 양호한 주거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구도심의 높은 지가 및 토지소유자와의 마찰로 인해 기반시설용지를 확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입체도시계획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경제여건 및 도시계획체계가 비슷한 일본의 경우 1989년 입체도로제도 도입 이후 2000년도에 전체 도시계획시설로 확대하여 구도심 재생사업에서 활발하게 입체도시계획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9년 입체도로제도를 도입하고, 2002년 입체도시계획제도로 확대하였으나, 제도의 큰 틀만 도입하고 세부지침이 수립되지 않는 등 제도적 한계를 내재하고 있어 실제 사업에 적용된 사례는 극히 드믄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외 입체도시계획제도 관련 법령을 분석하여 국내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사례조사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입체도시계획기법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입체복합도시인 루원시티(인천 가정오거리)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토대로 계획기법적인 측면 및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입체도시계획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획적인 측면의 활성화방안으로는 첫째, 환승거점을 조성하여 환승거점을 중심으로 주요 대중교통시설을 집중 배치하여 환승동선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지구를 통과하는 지하고속도로 및 간선도로에서 각 건축물로 직접 접속하도록 계획함으로써 상부의 통행량을 감소시키고 상부를 보행중심의 공간으로 조성하는 효율적인 교통동선체계 구축이다. 둘째, 썬큰광장 및 광덕트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활용해 지하공간의 폐쇄성과 열악한 채광, 환기 등을 극복하고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셋째, 수직․ 녹지 등의 면적을 평면적 기준에서 개발면적의 일정비율이상을 확보토록 하고 있으나, 입체도시계획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개별법에서도 평면적 면적기준이 아닌 입체적 면적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각의 개별법상의 제약이다. 개발사업 추진시 관련되는 각각의 개별법령들도 입체도시계획제도 도입에 따라 이에 부합하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설계대가 문제이다. 국내의 설계용역대가의 기준은 평면적인 계획면적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있어 입체도시계획에 대한 합리적인 표준품셈체계가 없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국토가 좁고 인구의 90%이상이 도시지역에 밀집한 국내 여건을 고려할 때,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도시기반시설부족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구도심의 주거환경도 열악해질 것이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에서 입체도시계획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기반시설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입체시설을 중심으로 주변을 고밀도로 개발하여 구도심을 활성화함은 물론 구도심쇠퇴에 따른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Since physical expansion of cities through building new urban settlements or towns has been causing a few urban problems including traffic growth as entering into the late 20th century, there are currently movements to solve them using an urban regeneration rather than a new city development. Especially, the urban regeneration, not the conventional way with focuses on physic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but the one considering socio-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are highlighted to revitalize old downtowns. To execute the urban regeneration emphasizing quality of life or sustainability, favorable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well-established urban infrastructural expansion should be preceded; however, high land price and frictions with land owners play as obstacles for securing a site for the use of infrastructural development. Developed countries such as Japan solve these problems using a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techniques. Especially, Japan, which is in a similar economic condition and has an urban planning system with Korea, applied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into the road system in 1989 and expanded it into the whole urban planning in 2000s actively utilizing it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multi-dimensional road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1999 and the use of the concept was broadened as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system. However, it was scarcely used in practices due to regulatory limits, such as lack of detailed guidelines. In this study,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with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drawbacks with the present system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and expert group interviews. Based on the problems came out when appling these analysis and results to the LU1 City project(Incheon Gajeong 5 Crossing District), the first multi-dimensional city in Korea, some methods are suggested in the field of planning techniques and the regulatory system to enhance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aspect of the planning methods, first, the effective transfe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minimize the traveling time of users by placing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around a transfer center as well as the effective traffic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planned to decrease upper traffic and promote walk-friendly environment on the ground by providing direct access to the site through underground expressways and arterial roads. Second, new techniques, such as a sunken plaza and a light duct system should be planned to improve lighting and ventilation of underground spaces. Third, vertical and horizontal development with a mixed-use functions of entertainment, office and housing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doughnut phenomena and finally to accomplish a complete city. In aspect of regulatory issues/suggestions for improvements, first, upper and underground roads and overpasses are not effectively used due to prohibition of private right over the national property according to the present regulations. Second, the standards are uniform for infrastructural development. A certain percentage of spaces for parking lots, parks, greeneries, and so on is required in terms of plan area under the current law. However, individual laws should consider adopting not only two-dimensional area but also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space area. Third, it is the limitations on each individual law. Laws related with urban development projects should be amended upon the introduction of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system. Lastly, it is the design fees. Since they are calculated based on the plan area, rational standardized cost estimations should be prepared and set up for the multi-dimensional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at the land space is limited and 90% of people populated in the urban areas, lack of urban infrastructure will be more worsened bringing about more inferior housing conditions. Therefore, adequate urban infrastructure are effectively secured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multi-dimensional facilities are developed with more density by effectively utilizing a multi-dimensional planning in urban regeneration so that will re-invigorate old downtowns and actively deal with the issues of their deterior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1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