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 0

면대면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영어수업의 비교연구

Title
면대면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영어수업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Face-to-face storytelling and Digital storytelling i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class
Author
정지혜
Alternative Author(s)
Jung Jihye
Advisor(s)
김성연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스토리텔링과 교사 주도의 면대면 스토리텔링의 비교연구를 통해 초등 학습자의 영어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수방법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J 초등학교에서 4학년 방과후 특별 활동반 1학급으로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비슷한 언어 수준의 교재 A와 B를 가지고 같은 대상을 스토리텔링 방법에 따른 학습자의 흥미와 수업에 대한 참여도(학습태도)를 비교 연구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스토리텔링 수업 방식을 조사하여 초등 학습자를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주간 총 4회에 걸쳐 실험 수업을 진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매 수업 후에 실험에 참여한 학생 모두를 개별적으로 면담하여 설문 내용에서 미흡하기 쉬운 부분을 보충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미친 정의적인 측면의 영향을 비교하고 성별에 따른 수업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스토리텔링 방식에 대한 사전⋅ 사후 흥미도와 학습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두 수업 방식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스토리텔링 방법이 모두 초등학습자의 영어 학습 중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둘째, 스토리텔링 방법의 성별에 따른 수업 전과 후의 흥미도와 수업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에 참여한 남자 학습자가 여자 학습자에 비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 학습자는 남자 학습자에 비해서 면대면 스토리텔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두 스토리텔링 방법 모두가 초등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사가 학습자 집단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초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제언이다. 첫째,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그림책을 활용한 면대면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이야기의 소재를 찾고 이에 맞게 제작된 적절한 수준의 디지털 매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초등 학습자들의 언어수준에 맞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이야기 자료가 목록화(이야기 자료 선정 리스트) 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디지털 매체로 활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료로 목록화 하여 교사들이 스토리텔링수업을 학습자의 선호도에 맞게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인적 자원에 대부분 의존하는 기존의 영어 수업방식에서 벗어나 교사가 좀 더 다양한 수업 활동을 마련 할 수 있도록 교실에서 다양한 디지털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보급과 그에 맞는 교원 연수 교육을 적절히 시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면대면 스토리텔링에서 중요한 소재가 되는 이야기 자료가 선정되어 목록화 될 때, 한 학급 내에서도 다양한 언어수준의 학습자들이 수업을 받는 현실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좀 더 세밀하고 다양하게 분화된 이야기 자료의 리스트를 구성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디지털 매체 활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교실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와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Face-to-face storytelling and Digital storytelling i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class Jung,Jihy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 of storytelling instruction and its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 when the use of digital storytelling and face-to-face storytelling instruction was compar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wo weeks. Fourteen elementary students from an after-school class in J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al class. A pre and post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fter experimental class were conducted to research the level of interest in English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how digital storytelling and face-to-face storytelling instruction by use of different story books, which are from similar language levels and features, can be put to classroom integra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s in the EFL learners' comprehensibility and affective domai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post storytelling instruc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ffective factors, interest and learning behavior in English.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ays of storytelling. As a result, the use of stories which are interesting and motivating for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interests and also their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male learners of subjects in digital storytelling instruction showed a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interest and learning behavior than female learners, whereas the female learners in face to face storytelling instruction showed a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than male learner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stories should be made as list for the creation of active digital-based content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for active digital storytelling more teacher training courses should be suggested for use of various and effective digital-media materials and tools. Third, suitable and reasonable stories for students of various levels should be prepared and developed. Fourth, since the different storytelling activities may result in diverse and positive effects for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and confidence for learning English, the study for effective storytelling methods and activities should be studied steadi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8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