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9 0

한국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관습과 사회문화적 함의

Title
한국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관습과 사회문화적 함의
Other Titles
The Narrative Convention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Korean Sports Films
Author
이현중
Alternative Author(s)
Lee, Hyun Joong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관습을 고찰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포츠영화는 장르 용어처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소재의 한계성에 그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포츠영화의 범위를 기존의 도상적 관점이 아닌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이 글이 정의하고 있는 스포츠영화란 내러티브가 스포츠에 초점이 맞춰진 영화, 즉 타 장르적 요소에 비해 스포츠에 방점이 찍힌 영화들을 말한다. 스포츠영화에 사회적 속성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한국 스포츠영화가 기획성이 강한 상업영화의 형태를 계속 지녀왔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다. 이는 반대로 스포츠영화에서 시대성, 사회성, 문화성 등을 발견할 수 있다면 스포츠영화를 영화 연구 대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기준으로 스포츠영화를 바라볼 때, 텍스트는 지극히 한정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를 기준으로 시기를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2000년대를 기준으로 한국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관습이 확보되는 지점이 위치하고, 각 시대적 차이에 따라 드러나는 스포츠영화의 사회문화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대적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한국 스포츠영화를 분류하였을 때, 2000년 이전 한국 스포츠영화의 특징적인 요소는 몇몇 특성들을 바탕으로 구분되는 유형화(類型化)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권투와 야구를 중심으로 인기 종목에 편중된 소재가 영화화되었고, 각 종목에 따른 내러티브 양식이 차이를 보였다. 창작 시나리오, 만화 원작,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등 원작에 따라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지적하였듯 과거의 한국 스포츠영화는 소재의 한계성이 강했다. 때문에 청춘영화, 하이틴영화, 액션영화 등의 인물화를 위해 스포츠가 이용되었고, 특이 소재라는 측면 때문에 기획적으로 스포츠가 영화 안에 들어오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2000년대에 들어서면 한국 스포츠영화는 내러티브 관습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는 자생적으로 일어난 한국 스포츠영화의 통사적 변화라기보다 1990년대 중후반부터 일어난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크다. 한국영화의 산업화와 자본의 유입 등을 통해 다양한 주제와 형식이 실험될 가능성이 커졌고,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스포츠영화 역시도 대중성을 점차 획득하였기 때문이다. 200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는 이러한 영화계의 흐름과 동일하게 다양한 소재가 다양한 방식으로 영화화되었지만, 점차 그러한 다양화를 넘어서는 내러티브의 유사성을 갖추기 시작했다. 부분적 차이는 있지만, 실화를 소재로 하는 영화가 다수 제작되었다거나, 경쟁을 중심적 이야기로 하는 스포츠영화에서 적대적 인물이 부재하고 패자의 휴머니즘을 다룬다는 점 등은 한국 스포츠영화만의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는 특성이다. 이러한 내러티브 특질을 갖는 한국의 스포츠영화가 지니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시기적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960, 70년대에는 사회통합, 체제유지와 같은 스포츠의 순기능적 성격이 강조되어 나타났다. 당시의 스포츠영화가 학생스포츠를 중심으로 계몽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났다는 점과 상하관계를 강조하는 등장인물의 계층적 관계가 나타난다는 점도 그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1980, 90년대에는 보다 다양한 주제와 형식들이 스포츠영화에서 실험되었다. 이는 정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스포츠와 대중문화를 통해 환기시키려 한 전략적 정책에서 시작을 찾을 수 있다. 스포츠문화는 대중의 일상에 침투했고, 오락성이 스포츠의 한 속성으로 인식되었다. 당시의 스포츠영화는 이러한 스포츠문화의 전개를 바탕으로 오락적 성격이 강화된 양상을 보였다. 2000년대의 스포츠영화는 전 시대와 같은 정치적 영향성에서는 벗어나 있다. 최근의 한국 스포츠영화에서 나타나는 가장 특징적인 문화현상은 패자의 눈물을 통해 주제의식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200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에서 나타나는 패자의 휴머니즘은 경제 위기와 사회의 불안정성, 과잉된 경쟁구조와 같은 현대 한국사회의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스포츠영화가 내러티브 관습을 획득하는 과정, 그리고 각각의 시기에 따라 스포츠영화가 한국사회와 연관해서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에 주목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narrative convention of Korean sports films and its sociocultural meanings. Sports film is used commonly as a genre term, but it is rather having limitation of a material.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et the scope of Sports film revolved around the narrative, not a icon. Sports film defined by this dissertation is the movies whose narratives focus on sports. It can be the same meaning with the movies that concentrate on sports more, compared with other genres. The doubt if Sports films contain the social attributes is caused by that Korean sports films have shaped as commercial films closed to a trend movie. Paradoxically, it also means to suggest possibilities to study Sports films as research object if period,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could be found out in Sports films. If we applied the standard strictly, the texts of Korean sports films would be quite limited. That is why this dissertation discusses at dividing a period as if the 2000s. The Korean sports films started to possess the narrative convention after 2000s. The proper period division can help to find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Sports films out according to each times. The important feature of the Korean sports films made before 2000 is to form types with some district characters. For example, the concentrated materials based on popular sports such as baseball and boxing were made into Sports films. But the narrative patterns were shaped differently depends on each sports. In addition, the past Korean sports films had limitation of a material more than a narrative and a subject. So sports were used tactically for the movies because it was the unusual thing as a material of a movie. On the other hand, recent Korean sports films made after 2000 have started to form the narrative convention. It has been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ilm industry starting since 1990s rather than a self-motivated change. With these flow of the Korean movies, Korean sports films after 2000s have used various materials exploiting various styles. But they have built the similarity up over the variety. For example, many 2000s' Korean sports films are based on a true story. And there is no antagonist even if competition is a central story in Sports films, also humanism of a loser is a fundamental subject. These are important features that distinguish independently recent Korean sports films.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Korean sports films could be studied as dividing a period. In 1960s and 1970s, the political natures of sports such as social integration and continuation of a system were emphasized in Sports films. In 1980s and 1990s, more various themes and conventions were attempted in Sports films. It was from the strategic policy of the Chun Doo-whan administration, which tried to call the people attention to sports and pop culture. Korean sports films after 2000 are out of the political influence, different with former times. The most markable cultural phenomena appeared in recent Korean sports films is to show the subject with tears of a loser. Humanism of a loser, which is shown in the 2000s' Korean sports films, involves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such as an economic crisis, an unstable community and an excessive competitive structure.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process how Korean sports films get the narrative convention,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s, that Korean sports films have, related Korean society depending on a perio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8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