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0

과학 중점화 학교 교육 현장의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 연구

Title
과학 중점화 학교 교육 현장의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 연구
Author
박세환
Advisor(s)
한영근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중점학교는 정부가 이공계를 살리기 위한 정책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에 수학, 과학 이수 비율을 높여 과학 교육을 강화한 학교이다. 과학 연구에 필요한 탐구 능력을 기르기 위해 비교과활동, 포트폴리오 작성, 과학 동아리 캠프, 교과교실제, 학생 진로 상담, 특별·전문 교과 편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시행하고 있는 중이다. 수업을 담당하는 인력은 과학고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교원을 우선 배치하고, 이공계 석·박사 등으로 전문가들이 기간제 교원이나 강사로 채용된다. 2009학년도에 53개 고교를 대상으로 시작을 하였고, 2012년까지 모두 100개의 과학중점학교를 지정할 계획이다. 과학중점학교 제도를 시행한지 2년이 지난 지금,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시행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려면 꾸준히 연구하고 개선되어야 한다. 제도를 시행한 후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어려움을 수반하는 사례를 현직 교사를 통해 연구하면서 접했다. 제도 운영 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과학중점학교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실행 사례에 대한 분석은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초석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한 공립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과학중점학교 과학 담당 시간 강사로 7개월 이상 재직하면서 과학중점학교 제도 업무 편람 및 본교 계약직 근로계약서를 바탕으로 공립 고등학교에서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7개월간 학습을 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중점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재직 중인 공립 고등학교의 현직 과학·수학 담당 교사와의 서면 혹은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과학중점학교에 대한 평가 및 제도상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과학중점학교에서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해 본 바에 따르면 고등학교 현장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계 고등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수업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특별·전문 교과편성, 비교과 활동에 대한 부분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교사들의 꾸준한 수업 준비와 학생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여서 학생들이 수업에서 더욱 동기를 부여받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시험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교육정책이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자신이 진학할 계열을 선택하게 된다. 문과를 선택한 학생은 과학 탐구 영역에 대한 공부를 시간 낭비라고 생각한다. 이에 관련된 부분은 설문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둘째, 과학 중점학교 수학·과학 담당 교사들의 업무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엄청나게 늘어난 점이다. 과중된 업무의 양만큼 교원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이와 더불어 교원들의 교재 개발 및 교육자료 제작에 소홀해지며, 수업이 교사의 주 업무가 되기 힘든 교육 환경이라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 하기위한 개선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 현실상 고등학교 교육은 대학입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공계열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과학중점학교를 만들었다면 대학을 가기 위한 입학사정관제도에 과학중점학교를 졸업한 문과학생들에게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을 융합하여 평가하는 새로운 진로의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둘째, 과중된 업무에 부담감을 느끼는 교사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과학중점학교에 해당 과목 인턴 교원의 수를 확충하는 것이다. 또한 예산 지원과 기간제교사, 시간 강사, 인턴 교사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고 보장하여 그들의 퇴직률을 줄이고 재계약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으로 과학중점학교 제도 활용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았고 앞으로도 과학의 발전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본 제도에 대한 다각적인 방안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As it looks like engineering subjects in the school will continue to stagnate, Science Centered School focused on math and science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launched to pull out of the sloughs of stagnation in 2009. It runs variety scientific programs to raise students' abilities in inquiry and increases the size of employment of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Science High Schools or temporary teachers with a master's and doctor's degree in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the utilization of Science Centered School in a public high school will be explored.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each programs in its curriculum and concept, opinion, and evaluat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program.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will b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Centered School system.; As it looks like engineering subjects in the school will continue to stagnate, Science Centered School focused on math and science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launched to pull out of the sloughs of stagnation in 2009. It runs variety scientific programs to raise students' abilities in inquiry and increases the size of employment of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Science High Schools or temporary teachers with a master's and doctor's degree in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the utilization of Science Centered School in a public high school will be explored.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each programs in its curriculum and concept, opinion, and evaluat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program.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will b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Centered School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0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