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프로야구팬들의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 연구

Title
프로야구팬들의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age Reception of Foreign Athletes i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Author
조윤정
Alternative Author(s)
Cho, Yun Jung
Advisor(s)
조성식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관여도 및 다문화경험‧ 인식이 프로야구에서 활약하고 있는 외국인 선수들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외국인 선수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국내 프로스포츠 리그 중 프로야구 리그의 관중으로 선정하며, 남자286명(60%), 여자191(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의 3팀의 프로야구 경기를 방문한 관람객 47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실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관여도에 관한 차이 중 성별에 따른 차이는 행동적‧ 미디어관여도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한 차이는 미디어관여도가 대졸이상 집단이 고졸 이하, 전문대졸집단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학교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고졸, 전문대졸의 집단보다 TV나 신문기사 인터넷을 통하여 스포츠를 접하는 기회나 빈도가 더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소득에 따른 차이로는 고소득 집단이 행동적관여도, 미디어관여도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소득 집단이 직접 스포츠를 관람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스포츠콘텐츠를 접하는 정도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인선수 호감도에 따른 차이는 외국인선수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스포츠관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미디어관여도에서 보이듯이 미디어에서 비춰지는 외국인선수의 이미지를 많이 접하고 관심을 갖는 집단이 관여도가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다문화경험‧ 인식의 차이 중 성별에 대한 차이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경험보단 인식요인에서 남녀모두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다문화경험‧ 인식의 차이로는 다문화경험‧ 인식 요인 모두 20-30세 집단이 가장 높았다. 이는 대학생 및 젊은층의 사이에서 다문화경험‧ 인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대졸이상의 집단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경험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소득에 따른 차이는 다문화경험 요인에서 고소득 집단이 저소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외국을 방문하거나 외국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외국인선수 호감도에 따른 다문화경험‧ 인식의 차이는 외국인선수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다문화경험 및 인식 요인 모두 높았으며 외국인선수에 대해 호감도가 높을수록 다문화인식이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가치관에 따른 차이로는 가치관이 진보적일수록 다문화경험‧ 인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가치관이 진보적일수록 해외여행 빈도나 외국문화를 인식하는 정도, 받아들이는 수준이 높다고 보여진다. 셋째,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 차이 중 소득에 따른 차이로는 고소득 집단이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차이는 기타집단이 학생집단에 비해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감도에 따른 차이로는 5개 요인 전부 호감집단이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 정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외국인선수에게 호감을 느낄수록 외국인선수 이미지 수용도도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가치관에 따른 차이는 경기수행력 요인에서 보수적 집단에서 경기수행력을 높게 보았고 나머지 4개의 요인에서는 진보적 가치관을 가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