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 0

트램펄린을 통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하인츠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Title
트램펄린을 통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하인츠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Influences of psychomotor program using trampoline over gener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mainly through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Author
최호정
Alternative Author(s)
Choi, Ho-Jeong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잘 못된 부모 이미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에게 심리운동 지원을 통해 전인적인 발달을 추구하고 자아 형성을 돕고, 트램펄린을 통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으로 대상자의 신체발달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성정하였다. 1) 아이가 하는 행동을 부모가 문제행동으로만 보는가? 아니면 그 속에서 긍정적 인 모습을 찾아내는가? 2) 아이가 충족하고자 하는 자기대상 욕구의 문제를 해결을 할 수 있는가? 3) 심리운동을 하면서 신체적, 언어적 측면에서 자존감에 변화를 가져왔는가? 4) 트램펄린을 포함한 프로그램 활동에서 활동시간의 증가를 가져왔는가? 5) 프로그램 중에 다른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스스로 극복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심리치료팀 사업인 트램펄린 운동 반에서 연구자가 무작위로 1명을 선정하여 부모의 동의 아래 이루어졌으며, 심리운동실에서 사용하는 상담일지, 관찰일지, 심리운동 평가지, TKT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모가 아동의 장애를 인정하지 않고, 부모의 생각대로 치료/교육을 시켜 아동의 생각을 무시함으로 해서 행동과 성격에 문제를 치료만 하려고 하는 부모의 사고를 아동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사고로 바뀌는 변화를 보였다. 2) 잘못된 부모의 양육이 아동의 자기대상에 욕구를 충족해주지 못하여 아동의 신체적, 언어적인 부분에 자신감이 결여되었으나, 꾸준한 부모 상담과 상담 내용을 가정에서 실천해온 부모가 아동의 자기대상을 충족하도록 하여 건강한 자아로 바뀌는 변화를 보였다. 3)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도 신체적, 언어적 자존감이 낮아 움직임 하나하나에도 긴 시간이 걸리는 아동이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회기가 거듭 될수록 움직임, 행동, 지각, 놀이 영역에서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달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4) 트램펄린 협응 테스트를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여 비교해본 결과, 소근육 운동의 협응에 있어서 중점적인 약화와 대근육 운동의 협응에 있어서 중점적인 약화에서는 사전에 1, 사후에 1을 보여 크게 변화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경미하나 전반적인 소근육 운동의 장애와 경미하나 전반적인 대근육 운동의 장애에 사전 2, 사후 1로 경미하지만 양호해진 결과를 가져왔다. 그중에 중도의 전체적인 운동 장애에 사전 10, 사후 3으로 크게 차이를 초기에 비해 많은 영향을 주어 운동성에도 많은 변화를 준 것으로 보였다. 5) 타인 인식, 상호작용 등의 변화를 가져온 결과 첫 4회기 동안은 눈에 확 띄게 행동을 하거나 또래와의 상호작용 보다는 심리운동사와 라포형성의 시간을 가졌다면, 5회기가 넘어가면서 점점 또래와 대화를 하고 자신감 있는 태도와 행동으로 목소리 톤과 행동 반경의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트램펄린의 통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은 치료/교육만으로는 변화를 가져 오는 것이 어렵지만, 부모의 변화로 아이가 변화되는 과정을 아동의 부모와 같이 확인 하였다. 아동의 부모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이 얼마나 아동에게 큰 영향을 주는지를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운동이 아동의 치료/교육적인 부분이 아닌 아동의 전반적인 부분에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각 전문영역의 전문가와 결과들을 논의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을 논한 후 이에 근거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