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0

도시수변공간의 공공영역 장소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수변공간의 공공영역 장소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Place Value for the Public Territory of Urban Waterfront
Author
어정연
Alternative Author(s)
Uhr, Jeong Yeun
Advisor(s)
여홍구, 김흥순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대 도시에 있어서 도시수변공간의 가치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들어오면서, 도시수변공간은 건조한 인공물로 인해 사라져버린 자연환경을 대신하고, 다양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는 사회문화적 공간으로써 역할해주기를 요구받고 있다. 시대적 요구를 충족한다는 것은 시대적 가치를 형성하는 일이다. 이와 같은 시대의 요구를 적극 수용한 도시수변공간은 도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한 장소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수변공간을 개발하는 일은 ‘장소 만들기’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공간 창출’이라는 접근방식은 복합적인 관계 요소들이 공존하는 현대 도시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이다. 도시가 급변하는 사회 ․ 문화적 환경들과 그에 따른 의미와 가치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를 담아내는 그릇으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장소라는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수변공간이 도시공간에서 요구되는 특별한 장소이자 공공영역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설명하고, 이러한 차원에서 생성되는 가치가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복합적인 요소들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수변공간의 장소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개발하고, 평가체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수변개발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외국 사례 4곳에 대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공한 도시수변공간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미나토미라이21, 달링하버, 배터리파크시티, 도크랜드의 건조 환경에 대한 평가는 공통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자연환경에 대한 고려와 반영 부문은 낮게 평가되었다. 유의한 사항은 분석 대상지 모두가 랜드마크, 오픈스페이스, 복합용도개발의 항목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는 점이며, 이러한 부분에서 도시 재생과 이미지 제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 분석 대상지 모두는 다양한 이벤트와 축제 등의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장소에 대한 홍보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점들이 장소의 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례 분석 대상지 모두는 개발에 대한 공적 의지가 강한 특징을 보였으며,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많은 활동들이 있었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과 계획, 유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도시수변공간의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례 분석 대상지 모두는 우수한 건조 환경을 조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진적인 정책과 제도를 바탕으로 역사와 문화를 고려하는 사회문화적인 접근과 노력들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력들도 수변개발의 콘텐츠로 작용하여 장소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도시수변공간의 장소가치 평가체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전공영역의 전문가들 모두는 개발된 도시수변공간의 평가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자연 환경과 건조 환경을 평가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시수변공간을 형성하는 가시적이고 물질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선진화된 정책과 제도 등과 같은 비물질적 요소들도 도시수변공간의 평가 대상이 되며, 이러한 요소들이 매우 중요한 가치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도시수변공간의 평가는 개발 조성된 물질적 환경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유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도 평가대상이 되며, 장소의 가치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는 도시수변공간개발에 있어서 건조 환경에 의한 기능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 역사와 문화, 사회적 활동 등과 같은 가치들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질적 공간 개발과 공간의 효율성만이 중요한 공간으로서의 개발이 아니라, 누구나 공유하고 누릴 수 있는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중요한 장소로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도시수변공간은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그로 인하여 보다 나은 가치를 형성하는 공공영역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자연환경과 건조 환경이 조화를 이루고, 그 속에서 다양한 요구를 지닌 인간의 활동이 수용되며,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이 뚜렷한 도시수변공간은 도시 기능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도시 기능적 차원의 가치는 도시 경쟁력을, 사회문화적 차원의 가치는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고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수변공간은 이러한 차원에서 개발되고 조성되어야 한다. 도시수변공간의 장소가치 평가체계 개발이 갖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도시수변공간의 장소가치 평가체계 개발이 갖는 또 다른 의의는 도시수변공간을 평가하는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시수변공간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엇을 개선하고 개발할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어서 개발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소가치 평가체계는 장소마케팅이라는 개념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장소가치의 평가체계는 다양한 가치 생성의 항목들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 개발된 수변공간에 대한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변개발의 목적, 내용,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개발방식의 계획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장소를 가치라는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문화의 시대, 급변하는 사회변동의 시대에 조응하고, 경쟁력 있는 장소를 구축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장소가치라는 개념이 도시공간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선언적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장소가치의 구체적이고 계량적인 평가지표나 장소 이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정량적 측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지닌다. 모든 장소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다르고, 정치경제적인 차이가 있으며, 자연환경도 다르다. 또한 이용자들의 개인적인 라이프사이클이나 라이프스타일도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조건들을 수용하는 연구방법은 구체적인 장소가 설정된 후속연구를 통해서 보다 명확한 장소가치 평가지표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some modern cities, the urban waterfront has been gaining a lot of attention. The rising demand for various social amenities in the 21st century has led to growing interest in the urban waterfront as an area for socio-cultural activities, and a means to replace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used by city planning. Fulfilling these needs is a matter of proper assessment and planning. The urban waterfront has the potential to meet all the demands by playing an active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and value the surrounding city. Subsequently, a proper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the urban waterfront through ‘place-making.’ Creation of urban space is not a simple matter and is limited in terms of approach to the modern city, particularly as the latter possesses complex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oexist within. Thus, an approach is needed that can properly handle the rapid transformations of society, culture, and value variation. Also necessary is the promo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the spaces that are need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modern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urban waterfront as a major promoter of city image by analyzing the urban waterfront as a desired part of urban space and public territory. First, a proper assessment system is rendered to evaluate place value of any potential complex elements. Then a thorough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4 successful examples of waterfront development from other countries to verify the assessment system. Analysis from four (4) successful examples of waterfront development are as follows: 1. All four cases involving Minato Mirai 21 in Yokohama, Darling Harbor in Sydney, Battery Park City in New York, and Dockland in London received outstanding scores in terms of building construction environment, but commonly have low scores in the area of consider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ommonality these waterfronts have (i.e. where they score highly) are in the areas of landmarks, open space, and mix-use, which all highly affect urban rehabilitation efforts and are related to city image. 2. In the analyses, all four waterfront areas were found to enhance the value of place through the commonly use of the space for various events or festivities, thereby ensuring constant publicity. 3. All four areas share strong public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and for planning projects before development began.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planning, and maintenance are increasingly being viewed as positive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the urban waterfront. 4. The analysis examples all possess excellent construction environments, and also have advanced policies and systems in place. Therefore, social-cultural,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re being pursued with relative ease. As a result of such efforts, waterfront development and efforts to build place value have been successful. The urban waterfront can have high value in city function and on the socio-cultural side even before a balance is struck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nstructed environment. The value in the city function improves urban competitiveness while the value for the socio-cultural side helps form and promote city image. It is critical that urban waterfront development satisfies both values.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why a proper assessment system to evaluate place value is needed. Another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ystem to evaluate place value of the urban waterfront is to divide the evaluation procedure into levels. The status of the urban waterfront space and its surroundings can be determined, and areas to be improved or developed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ing in mor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assessment system can reduce the side effects that follow development by classifying them as target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r enhancement and improvement. Close examin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assessment system will lead to various activities that enhance place value.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mbine assessment with the idea of place marketing.; In some modern cities, the urban waterfront has been gaining a lot of attention. The rising demand for various social amenities in the 21st century has led to growing interest in the urban waterfront as an area for socio-cultural activities, and a means to replace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used by city planning. Fulfilling these needs is a matter of proper assessment and planning. The urban waterfront has the potential to meet all the demands by playing an active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and value the surrounding city. Subsequently, a proper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the urban waterfront through ‘place-making.’ Creation of urban space is not a simple matter and is limited in terms of approach to the modern city, particularly as the latter possesses complex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oexist within. Thus, an approach is needed that can properly handle the rapid transformations of society, culture, and value variation. Also necessary is the promo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the spaces that are need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modern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urban waterfront as a major promoter of city image by analyzing the urban waterfront as a desired part of urban space and public territory. First, a proper assessment system is rendered to evaluate place value of any potential complex elements. Then a thorough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4 successful examples of waterfront development from other countries to verify the assessment system. Analysis from four (4) successful examples of waterfront development are as follows: 1. All four cases involving Minato Mirai 21 in Yokohama, Darling Harbor in Sydney, Battery Park City in New York, and Dockland in London received outstanding scores in terms of building construction environment, but commonly have low scores in the area of consider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ommonality these waterfronts have (i.e. where they score highly) are in the areas of landmarks, open space, and mix-use, which all highly affect urban rehabilitation efforts and are related to city image. 2. In the analyses, all four waterfront areas were found to enhance the value of place through the commonly use of the space for various events or festivities, thereby ensuring constant publicity. 3. All four areas share strong public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and for planning projects before development began.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planning, and maintenance are increasingly being viewed as positive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the urban waterfront. 4. The analysis examples all possess excellent construction environments, and also have advanced policies and systems in place. Therefore, social-cultural,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re being pursued with relative ease. As a result of such efforts, waterfront development and efforts to build place value have been successful. The urban waterfront can have high value in city function and on the socio-cultural side even before a balance is struck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nstructed environment. The value in the city function improves urban competitiveness while the value for the socio-cultural side helps form and promote city image. It is critical that urban waterfront development satisfies both values.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why a proper assessment system to evaluate place value is needed. Another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ystem to evaluate place value of the urban waterfront is to divide the evaluation procedure into levels. The status of the urban waterfront space and its surroundings can be determined, and areas to be improved or developed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ing in mor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assessment system can reduce the side effects that follow development by classifying them as target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r enhancement and improvement. Close examin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assessment system will lead to various activities that enhance place value.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mbine assessment with the idea of place market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5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2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