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0

‘오미동가도’에 관한 공간구조분석과 이화동 공동주거 설계

Title
‘오미동가도’에 관한 공간구조분석과 이화동 공동주거 설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Oh-Mi-Dong-Ga-Do'
Author
김은영
Advisor(s)
정진국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근현대사에서 전통과 현대의 맥에 관한 내용은 오랫동안 한국 건축의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건축은 일제 강점기와 급진적인 근대화 같은 급격한 변화 속에서 전통과 현대 사이에 큰 격차가 생기게 된다. 한국근현대사라고 볼 수 있는 시기 안에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엿볼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1950년에서 1960년을 아우르는 건축형태와 시지각을 중심으로 계승하는 태도였다. 이는 전통건축의 각 요소를 분할하여 비례 체계 등의 규칙을 발견하고, 지붕의 곡선과 같은 형태적 속성을 현대 구조로 풀어나가는 등의 방식을 취하게 된다. 다음은 1970년대의 김수근을 중심으로 한국의 전통건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을 깊이 분석하여, 현대적 언어로 이끌어내는 방식이었다. 앞서 이야기 한 50~60년대의 형태적 접근과는 달리 보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전통에 접근하게 되었고, 현대건축에 아직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정인하, 건축적 담론과 생성 다이어그램들 연재, SPACE, 2006 1970년, 그 이후의 한국 전통건축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김수근의 건축담론의 근간이 되는 것은 사방도법으로 그려진 ‘옛 건축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김수근의 건축담론을 거치지 않고 옛 건축그림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그 안에 숨겨진 한국전통건축의 맥을 되짚어 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론적 해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미동가도를 현대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도록 재해석 하여, 현대도시주거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고립화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2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5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