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 0

명동관광특구 내 상업시설 재개발 계획

Title
명동관광특구 내 상업시설 재개발 계획
Other Titles
A Study of commercial redevelopment project
Author
한윤정
Advisor(s)
이강업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10년 오늘날의 소비는 상품을 구매하는 행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의 상품은 일반적인 재화를 가장 큰 의미로 둘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품을 교환하는 행위자체로 해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된 상품의 소비적 행위는 이미지화되고 이미지로 구현된 상황들을 소비한다는 것을 통해 ‘소비공간’은 앞서 제시한 모든 것을 담기 위한 장소라고 정의함으로서 사회적인 의미가 더해진다. 따라서 도시와 건축을 연계해주는 소비공간은 생산자와 상인, 그리고 소비자가 만나는 접점이며 상품은 물론 그 거래가 이루어지는 소비공간 자체도 소비 될 수 있다는 복잡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쇼핑을 소비공간에서 가장 흔한 행위로, 오늘날 쇼핑의 행위는 놀이의 하나로서 인식되어 진다. 오늘날 도심에 위치한 상업시설이 복합화, 엔터테인먼트화, 쇼핑몰의 쇼핑의 행위가 단지 상품 소비에 끝나지 않고 상업시설 내 다양한 행위-영화를 보거나, 거리 이벤트를 경험하거나, 쇼윈도우를 통한 시각적인 경험 등-에 까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하고, 상업시설 마저도 소비로 이어지게 하는 거대화된 쇼핑몰은 도심 내 여가생활의 장소라는 엔터테인먼트화 된 장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상업시설의 도심 내부로의 침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도시의 흐름을 끊는 단지 거대한 매스로 전락하고 있다. 또한 이 거대한 매스는 단지 슈퍼블록으로서 도시의 흐름을 끊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거리문화를 단절시킴으로서 사회교류의 장이라는 소비장소의 기본 목적마저 흐려지게 하고 있다. 또한 기능 위주의 경제성만을 고려한 프로그램화된 시장은 과거 근대건축이 그랬던 것처럼 주변의 맥락을 무시하고 장소를 파괴하는 주범이 되고 말았다. 이제 상업시설은 더 이상 거리를 따라 쇼핑하며 예측하지 못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경험하던 과거의 소비공간이 아닌 단지 기업의 이익 추구만이 존재하는 건물로 전락해버렸다. 결국, 현대의 상업시설은 광장과 거리의 즐거움은 외면한 채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 타인과 나를 구분 짓기 위한 신분의 잣대로서의 소비를 권장하는 공간일 뿐 인 것이다. 이러한 거대한 쇼핑몰의 문제점을 ‘가로의 내부화’를 통해 상업시설의 본질인 ‘사회 교류의 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기존의 아케이드 및 유사 사례에서 가로가 도시의 맥락을 연결시킴으로서 도시 상업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 가로를 상업시설 내부로 도입함에 따라 거리의 저층부 상점의 활성화와 더불어 거리의 연속성을 유지시키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선정된 명동지역은 상업가로와 상업시설의 긴밀한 연결로 이루어진 한국강북의 활기찬 쇼핑지역이다. 그러나 현대 브랜드 복제화 현상과, 고층형 상업시설의 무분별한 개발로 명동상업가로는 위협 받고 있다. 명동이 국제화 시대의 쇼핑지역으로 발돋음 하기 위해 내세우는 거리의 문화 역시 공개공지의 부족으로 거리문화를 확장시킬 수 없는 지리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명동지역에서 가로 내부화를 도입과 현재 건축법규에 따른 고층화를 통해, 명동의 공개공지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저층부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27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2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