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0

SH-SY5Y 세포에서 Tianeptine 처치에 따른 CREB의 발현

Title
SH-SY5Y 세포에서 Tianeptine 처치에 따른 CREB의 발현
Author
김황룡
Advisor(s)
최준호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론 : 우울증의 병태생리의 기전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최근에는 신경가소성이 우울증의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BDNF는 신경가소성의 중요한 매개물질로 여겨지며, 몇몇 항우울제들은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CREB)의 인산화를 촉진하고, 이것이 BDNF의 발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Tianeptine은 약리학적 특성이 기존 항우울제와는 다른, 비교적 새롭게 등장한 항우울제로서, 그 효능에 대한 가설로 가장 설득력 있는 것 중 하나가 이 약물이 신경가소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tianeptine이 CREB의 발현 및 인산화 양상을 변화시키어 신경가소성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 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방법 : 신경모세포종 세포주인 SH-SY5Y 세포를 각기 대조군 및 10uM, 20uM으로 용량을 달리하여 tianeptine으로 처치한 뒤, 1시간, 6시간, 24시간, 72시간 동안 각기 배양하여 발현되는 total CREB 및 pCREB의 발현량을 정량분석 하였다. 결과 : Tianeptine 10uM 또는 20uM 처리는 모두 total CREB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10uM, 20uM : Kendall's tau (τ) coefficient 1.000, p value=0.042; 대조군 : Kendall's tau (τ) coefficient 0.667, p value=0.174). 대조군 및 tianeptine을 10uM, 20uM 처리한 세포에서 시간에 따른 pCREB의 발현량은 모두 유의하게 순서대로 높아졌지만(Kendall's tau (τ) coefficient 1.000, p value=0.042), 10uM을 처리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in vitro에서 tianeptine은 신경세포에서 total CREB 및 pCREB의 발현량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10uM을 처리할 때 인산화를 가장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tianepine이 개별 신경세포에 작용이 인산화 증가뿐만 아니라 CREB의 유전자 발현 자체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2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9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