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4 0

박물관교육 평가기준 개발 연구

Title
박물관교육 평가기준 개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Gardner's
Author
안광선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지금까지 박물관은 사회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객관적 자료로서 이를 증명할 것을 요구받고 있는 가운데 박물관교육에 대한 공식평가가 하나의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심리학자 Howard Gardner가 제시한 다섯 가지 마음, 훈련, 종합, 창의, 존중, 윤리적 마음을 오늘날의 사회구성원들이 성공적 삶을 위해 필요한 마음들이라고 전제하고 박물관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박물관교육이 이러한 마음들을 계발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기준 개발은 박물관교육의 공식적 평가를 위해서 그리고 박물관의 사회적 기여 확인을 위해서 의의가 있는 일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박물관교육을 전시와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으로 그 범위를 정하고 구조화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평가기준 적용대상으로 정하였다. 오늘날의 박물관교육프로그램은 전시실 학습을 포함하고 있어서 실제적으로는 전시실 학습을 포함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우선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기본 바탕이 되는 박물관교육의 개념과 특성,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이용자 구분과 유형을 논하고 박물관교육의 평가개념과 방법들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Gardner의 다섯 가지 마음을 중심으로 박물관교육 이론 및 관련 제(諸) 이론에 대한 고찰과 Gardner의 다섯 가지 마음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평가준거와 평가지표를 추출하였다. 총 14개 평가준거와 89개의 평가지표를 추출하였다. 박물관교육 이론 및 제 관련 이론으로는 Falk & Dierking의 박물관학습 경험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Experience Model), Rogers 사람중심 상담이론, Bloom의 교육목표분류, Maslow의 학습환경 이론을 택하였으며 Csiszentihalyi and Rochberg-Halton, Chambers, Boekaerts, Kolb, McCarthy, Gardner, Vygotsky의 주장들도 반영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이 목적으로 하는 다섯 가지 마음 관련 평가기준은 Gardner, Linda Elder & Richard Paul, Velasquez, Andre, Shanks, Meyer의 주장을 바탕으로 하였다. 총 14개 평가준거와 89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델파이(Delphi) 조사 방법에 의해 박물관 종사자(박물관교육자 및 관계자)와 박물관교육 전공자(박사과정 수료 및 졸업)를 대상으로 각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자 관점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물관교육의 실천 그룹으로서 박물관 도슨트(문화관광해설사와 과학해설사) 관점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박물관 종사자와 박물관교육 전공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는 5점 리커드 척도 설문조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박물관 종사자와 박물관교육 전공자는 전사 설문조사 방법으로, 박물관 도슨트는 면대면 설문조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응답결과는 SPSS PASW Statistics 18로 처리 분석하였다. 대체적으로 각 평가지표에 대해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중요하다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응답이 리커드 척도 4점 내외의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개별 평가지표가 적절하고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박물관 종사자 및 박물관교육 전공자 그룹과 박물관 도슨트 그룹 사이에는 중요도 관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박물관 종사자와 박물관교육 전공자들이 박물관 도슨트 그룹에 비해 높은 중요도 관점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박물관 종사자와 박물관교육 전공자들의 박물관교육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박물관 도슨트 그룹의 박물관교육 활동이 해설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박물관교육을 지식의 전달과 습득이라는 범주로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박물관 도슨트 그룹을 위해 박물관교육의 개념과 특성, 유형 및 이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평가준거별로 중요도에서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학습저해(동기적)요소와 종합하는 마음은 다소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박물관교육은 자율학습공간으로서 내재적 동기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박물관교육은 실물기반 교육으로서 총체적 학습을 위한 최적의 환경(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이는 종합하는 마음이 계발될 수 있는 환경을 뜻한다. 또한 종합하는 마음은 훈련된 마음과 함께 사회구성원들에게 매우 필요한 마음이라는 점에서 학습저해(동기적)요소 평가준거와 종합하는 마음 평가준거는 박물관교육이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같은 평가준거의 개별 평가지표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준거그룹도 있다. 그러나 몇몇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각 평가준거 내에서의 중요도 성향은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어 평가지표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개발한 평가기준은 가드너의 다섯 가지 마음 계발을 중심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평가기준으로서 그 적실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9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31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MUSEUM EDUCATION(박물관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