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0

中國 圍溝墓의 기원과 기능

Title
中國 圍溝墓의 기원과 기능
Other Titles
The Origin and Function of Chinese Ditch Tomb
Author
안신원
Keywords
圍溝墓; 卡約文化; 秦; 墓制; ditch tomb; Kayue Culture; Qin Dynasty; tomb
Issue Date
2004-05
Publisher
한국상고사학회
Citation
한국상고사학보, v. 44, Page. 23-54
Abstract
중국의 圍溝墓는 그 형태상의 특징으로 인해 한국, 중국, 일본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특히 한반도 주구토광묘의 기원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묘제다. 본고는 중국의 자료를 검토하여 위구묘의 기원과 기능에 대해 추론하였다. 중국학계에서는 위구묘가 중국 서북지방 卡約文化의 무덤에서 발생하고, 秦代에 이르러 秦의 고유한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卡約文化의 문화적 특징은 秦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특히, 卡約文化의 묘제는 二次葬 계열이므로 굴지장으로 대표되는 秦의 묘제와는 전혀 다른 문화적 성격을 갖고 있어 秦의 위구묘와는 친연성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卡約文化의 분포영역은 靑海省 일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陜西省 關中地方에 근거지를 둔 秦의 영역에는 영향력을 미쳤다고 볼 수 없으므로 秦과 공간적으로도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위구묘라고 지칭된 卡約文化의 무덤은 秦의 위구묘와 서로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된다. 秦의 대형묘는 秦公陵園의 조영방식으로 볼 때 西周時代 이래로 지켜온 公墓制의 전통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는데, 秦의 왕실능원에서 발견되는 溝는 춘추시대 말기에 이르러 출현하므로 왕릉의 각 묘역을 구분하고 능원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 秦왕실의 능원제도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秦公陵園의 3호, 8호, 12호, 13호 묘역의 조성순서에도 잘 나타나 있다. 각 묘역은 內兆, 中兆, 外兆 등 3개의 溝로 나뉘며 각기 묘, 묘역, 능원을 구획하는 용도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溝의 기능은 秦 통일기에 이르러 담장으로 대체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秦의 대형묘에서 확인되는 溝는 "兆"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 대형묘들을 위구묘라고 부를 수는 없다. 위구묘는 전국시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비로소 관중지방 이외의 지역인 山西省 陜縣일대의 중소형묘에서 등장하며 하위계층의 귀족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秦의 중소형묘에서 확인되는 위구묘는 秦文化의 영향력 확대에 의한 전파와 확산이 아니라 전국시대 말기에 지방으로 이주한 秦의 일부 귀족계층이 왕실의 묘제를 모방하여 자신들의 묘역을 다른 계층과 구분하려 한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Chinese ditch tomb has been given academic attention in Korea, China, and Japan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its shape. Special attention mest be paid on ditch tomb since it is expected to explain the origin of pit tomb with ditch in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figure out the origin and the functions of ditch tomb. Chinese ditch tomb is believed to origin from Kayue Culture, and complete its unique feature in Qin Dynasty. However, ditch tomb in Kayue culture differs from tombs used for traditional secondary burials in Kayue Culture, and doesn't have any cultural similarities with ditxh tomb in Qin Dynasty, which implies that it should not be consider as the origin of ditch tomb. Kayue Culture is distributed in Qinghai region, and Qin Dynasty is mainly located in Guanzhong area. Therefore, eve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is not found. The fact that ditch tomb in Qin Dynasty is discovered only in marquis cemetery, not in small and medium sized cemetery tells us that it is not a tomb for the common people, and used only for the burials of the high cla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ruction style of Qin marquis cemetery at Fengxiang in Shaanxi, tombs in Qin Dysnasty conform to the tradition of Zong-fa system observed since the era of Western Zhou. Ditch tomb was used for the division of each cemetary when the royal park was being cemetaries-No.3, No. 8, No. 12, and No, 13. Ditch tomb in this era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ditches, such as inside ditch, middle ditch, and outside ditch, and each ditch forms in the Qinshihuang maosuleum. There is a view that ditch tombs discovered in the region other than Guanzhong area are tombs for the common people. However, we can't say that ditch tomb is built for the common people because funerary objects that are found in ditch tombs not used for the burials of the common people. It might be used for the burials of the lower noble class. These ditch tombs belong to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fer that the discoveries of ditch tombs are the result of the spread of the Qin Dynasty's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ditch tombs found in the region other than Guanzhong area are might be the result of the emulation of the Qin burial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281729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392
ISSN
1229-008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