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8 0

집단미술치료가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미술치료가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rt Therapy group for military misfit soldiers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mpact
Author
김지은
Alternative Author(s)
Kim Ji Eun
Advisor(s)
박경진
Issue Date
2011-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에서 콜라주기법 중심의 프로그램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살생각과 우울의 감소 및 자아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에서 콜라주기법 중심의 프로그램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에서 콜라주기법 중심의 프로그램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집단미술치료에서 콜라주기법 중심의 프로그램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군복무 부적응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으며 자살징후와 우울한 증상을 보이는 병사가 비자발적으로 소집된 00캠프에서 캠프 참석자 전원인 10명의 병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매주 2회기로 60분씩 총 10회기 콜라주 기법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집단에 사용된 검사는 Beck의 자살생각척도와 우울척도, Rosenberg의 자아 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그림 투사검사인 풍경 구성화(LMT: Landscape Montage Technique), 그림이야기 검사(DAS: Draw a Story), 진단적 그림검사 시리즈(DDS: Diagnostic Drawing Series),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활동 등을 사용하여 질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T검증 및 분석 결과 자살생각과 우울 및 자아 존중감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자살생각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우울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아 존중감은 실시 전보다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과 우울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콜라주를 통하여 창의적인 활동 및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군부대에서의 심리적인 안정과 즐거움의 요소가 제공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 징후 및 자살에 대한 생각이 높은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을 위해 소집된 캠프 내에서,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점이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콜라주기법을 사용한 점이다. 콜라주기법은 격리된 감정과 사고가 연결되게 하며 긍정적인 표현 및 감정의 전환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어 자살생각과 우울의 감소라는 주요증상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및 표현이 줄어들고, 우울한 증상이 감소하였음을 콜라주 작업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과 희망이 작업에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적인 삶의 태도 표현 및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통찰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은 개인별 소속부대로 돌아가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개인 상담으로까지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는 재발 위험성의 요인을 감소시키는 추후 조치 또는 지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한 부대 내 캠프에 소집된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추후 연구 시, 콜라주 작업에 나타난 세부항목들의 통계적인 분석 접근도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5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0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