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0

피터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탐색 과정 연구

Title
피터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탐색 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arching Process of Peter Brook's 'Universal Theatre Language' : Focus on (1979)
Author
김그네
Alternative Author(s)
Kim, Gue-Ne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11-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피터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탐색 과정 중 나타난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특히 <새들의 회의>의 창조 과정을 중심으로 ‘보편적 연극언어’를 밝히고자 한다. ‘보편적 연극언어’에 대한 브룩의 실험 정신은 연출 초기 시절부터 나타난다. 세계 제 2차 대전 종전 이후 주목을 받았던 유럽과 미국의 현대 희곡 작가들의 작품을 연출하면서 브룩은 새로운 시도를 했으며, 셰익스피어 작품 연출에서도 자신만의 창조적인 연출 해석과 과정을 구축했다. 또한 오페라 연출에까지 영역을 넓히면서 오페라가 갖고 있는 비능률성과 고정된 관습을 새로운 무대 표현 방법을 통해 변화시키고자 했다. 이와 같은 브룩의 도전정신은 향후 실험 연극으로 전환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고, 나아가 ‘보편적 연극언어’를 탐색하는데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1970년대는 브룩이 ‘보편적 연극언어’를 찾기 위해 본격적으로 다양한 탐구를 시도한 시기이다. 그는 다양한 문화들을 연구하면서 대본, 무대, 배우 훈련 등을 자신의 연극관에 따라 새롭게 변화시키고자 했다. 이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71년 국제 연극 연구 센터를 창립하여 폭넓은 문화를 접한 시기이다. 브룩은 종교와 신화에 천착하면서 페르시아 수피즘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신화를 통해 국적과 인종을 넘어 모든 관객들과 정신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브룩은 이 같은 요소가 파리드 우딘 아타르의 『새들의 회의』에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신화의 현대화와 새로운 표현방법을 추구해 나갔는데 이는 텍스트의 재해석과 역할을 창조하는 과정 속에서 잘 나타난다. 브룩과 배우들은 무엇보다 신체와 가면의 활용을 통해 집중력과 상상력을 극대화 시켰다. 두 번째 시기는 연구 센터 단원들과 아프리카에서 실험 작업을 한 시기이다. 브룩은 능동적이고 순수한 관객과의 만남을 위해 아프리카로 떠났다. 그는 관객과의 접촉을 위해 열린 공간을 사용했고 이는 ‘카펫 연극’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아무런 세트와 무대 기술이 없는 카펫 위에서 공연하기 위해 오브제의 재창조를 시도했다. 또한 브룩은 수 백 가지의 즉흥극을 시도했다. 이는 여러 오브제와 <새들의 회의>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배우와 관객의 만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과정으로 작용했다. 세 번째 시기는 미국에서 다양한 형태의 즉흥극을 진행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캄페시노 극단과의 작업에서는 <새들의 회의>를 비유적인 형태로 나타냈으며, 브룩클린 아카데미 오브 뮤직에서는 수 백 가지의 새로운 형태의 <새들의 회의>를 진행했다. 이 과정들은 <새들의 회의>가 공연으로 완성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 세 시기는 1979년 <새들의 회의>가 한 편의 공연으로 완성되기 위한 끊임없는 발전의 과정이었다. 또한 <새들의 회의>는 수많은 실험 공연을 통해 새로운 연극언어의 탐험과 발견의 가능성을 열어준 작품이었다. 이 작품을 통해 브룩은 ‘보편적 연극언어’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 브룩이 추구한 ‘보편적 연극언어’는 배우와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인간의 내적인 부분을 통해 같은 것을 느낌으로써 소통할 수 있는 언어이다. 또한 국적, 인종, 계층, 언어, 장소에 상관없이 전 세계 모든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연극언어라 할 수 있다. 이는 브룩의 연극연출의 궁극적인 목표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탐색 과정을 통해 관객과 배우가 폭넓게 소통할 수 있는 형태와 특성을 알아보고, 나아가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밝히고자 했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브룩의 다양한 즉흥극 뿐 만 아니라 <새들의 회의>에서 나타난 새로운 공연 형태에 대해 고찰을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o have appeared in search processes of 'Universal Theatre Language' of Peter Brook, which have appeared during the creative processes of (1979). Brook's experimental spirit to find out 'Universal Theatre Language' was seen from his early career as theater director. He directed works of Euro-American modern dramatists which attracted the public attentio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e attempted new methods in directing these works. And he established creative process and new interpretation in directing shakespearean works. Also, he enlarged the scope of opera directions. He would change inefficiency and stereotype of opera through new stage expression ways. This challenging spirit of Brook was the important basis to convert to experimental theater. Furthermore, it was an starting point for 'Universal Theatre Language' to be formed. Brook attempted a lot of research in 1970's in order to discover 'Universal Theatre Language'. He would change scripts, stage craft, actor training method etc. according to his own view on plays while studying various cultures. A categorize the searching process in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t is when he contacted with various cultures through establishing 'Centre International de Recherches Thé â trales'(CIRT) in 1971. Brook had keen interest in Persian Sufism while studying religions and mythology. He thought that the people of all races and nationalities can communicate through myth. Brook thought that these elements are inherent in 『The Conference of the Birds』by the Persian Poet, Farid Al-Din Attar. He pursued modernization of myth and new representation methods. This well appears in re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character creation process. Above all, Brook and the international actors maximized concentration and imagination through body expression and the use of masks. In the second period, Brook left to Africa with CIRT members in order to meet active and pure audience. He used the open space for contacts with such audience, and this provided him an opportunity to develop 'carpet show'. He attempted to recreate various objects in order to play on carpets without any stage set and technology. Also, Brook tried hundreds of improvisation to encourage the lively communication between actors audience in the performance of . The third period saw more developed improvisation of various forms in the United States. was staged with a metaphorical form in Collaboration with El Teatro Campesino in California. Also, Brook showed hundreds of new kinds of at the stage of Brooklyn Academy Of Music. These processes gave a lot of help to be a complete performance of . With the results of these three periods was formed to a repertory in 1979. Also, through a great number of experiment performances was the work which opened exploration of new theater language. Through this work, Brook was able to do concretely give shape to a form of 'Universal Theatre Language'. The 'Universal Theatre Language' which Brook pursued was to stimulate an imagination of actors and audience. It is the theater language that can help to understanding of audiences regardless of nationality, race, social status and language. The formation of this was the ultimate goal of Brook's play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o have appeared in search processes of 'Universal Theatre Language' of Peter Brook, which have appeared during the creative processes of (1979). Brook's experimental spirit to find out 'Universal Theatre Language' was seen from his early career as theater director. He directed works of Euro-American modern dramatists which attracted the public attentio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He attempted new methods in directing these works. And he established creative process and new interpretation in directing shakespearean works. Also, he enlarged the scope of opera directions. He would change inefficiency and stereotype of opera through new stage expression ways. This challenging spirit of Brook was the important basis to convert to experimental theater. Furthermore, it was an starting point for 'Universal Theatre Language' to be formed. Brook attempted a lot of research in 1970's in order to discover 'Universal Theatre Language'. He would change scripts, stage craft, actor training method etc. according to his own view on plays while studying various cultures. A categorize the searching process in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t is when he contacted with various cultures through establishing 'Centre International de Recherches Thé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2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0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