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 0

지역주민들의 의료정책 및 제도에 대한 인식

Title
지역주민들의 의료정책 및 제도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 Policy and Heath System
Author
이명숙
Alternative Author(s)
Lee, Myung Sook
Advisor(s)
한동운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제도에 대한 인식과 정부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지역주민들의 태도에 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개인의 건강 수준 및 행태별 의료제도의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 전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정부가 추진하고, 개선해야 할 의료제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정부 정책 추진에 기초 자료 제공 및 정책 개선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정부의 제도 개선에 있어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1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약 4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과 기타 지역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총 400부 배부하였고 실제로 설문지가 작성 제출 된 설문지 수는 392부였다(회수율 98%). 이중 설문지 작성이 미흡한 4부를 제외하였고, 최종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388부로 배부된 설문지 대비 97%였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성이 47.5%, 여성이 52.4%로 여성이 많았으며, 연령분포는 30세군이 73.1%로 가장 많았고, 월평균가계소득은 100만원~400만원이 35.8%, 직업은 사무직, 공무원이 67.7%, 종교는 있는 응답이 65.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들이 건강수준은 58.4%가 인식 수준이 높았고, 건강실천은 72.5%가 실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은 92.5%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개인 건강에 대한 선행연구결과와도 비슷한 수치로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되고 그 중요성으로 인한 참여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우리나라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한 만족도 교차분석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 연령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유의한 수준 이였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실천을 잘 하는 집단군이 정부 정책에 대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의한 수준 이였다. 4. 연구대상자의 현 정부에 대한 보건 보건복지부의 정부내 영향에 대한 chi-square분석결과 대상자들은 64.2%가 영향이 크다고 조사되었고, 남성보다는 여성, 고졸이하의 대상자, 비공무원직업군, 소득이 낮은 집단군이 정부 내 보건복지부 영향이 크다고 조사되어 유의한 수준이었다. 또한 건강실천을 잘하는 집단군과 건강이 나쁜 집단군이 정부 내 보건복지부 영향이 크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어 유의한 수준이었다. 5. 연구대상자의 보건복지부의 정책이 정부 정책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예측인자는 연령, 학력, 직업, 소득수준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고졸이하 학력이, 직업은 공무원 집단군보다 비 공무원 집단군이 정부정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연령과 학력, 직업 및 소득수준이 보건복지부의 정부정책 만족에 대한 결정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은 매우 불만족한 수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community perception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community about the health care services can help in better delivery and higher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eople on heath policy and health care system,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health policy and system, and discuss the reason of differences between socioeconomic group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from 1st November to 30th November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program to determine public perception of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and predicting factors on their perception. Results: A total of 389 community people were surveyed. Findings confirmed that about 36 of community people shows positive attitude toward health policy. Factors founded to influence the community people response included age, education level, and living standard and so on. Conclusions: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eople toward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reflected their view on health care system. Their perception of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was different among socioeconomic groups and may imply the demand for new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Government and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aware their opinion and try to find and develop some measures to meet their demand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community perception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community about the health care services can help in better delivery and higher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eople on heath policy and health care system,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health policy and system, and discuss the reason of differences between socioeconomic group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from 1st November to 30th November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program to determine public perception of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and predicting factors on their perception. Results: A total of 389 community people were surveyed. Findings confirmed that about 36 of community people shows positive attitude toward health policy. Factors founded to influence the community people response included age, education level, and living standard and so on. Conclusions: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eople toward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reflected their view on health care system. Their perception of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was different among socioeconomic groups and may imply the demand for new health policy and health system. Government and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aware their opinion and try to find and develop some measures to meet their demand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9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4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