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 0

이성천 작곡 가야금중주곡 제22번 <빨간 음악> 분석

Title
이성천 작곡 가야금중주곡 제22번 <빨간 음악>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Gayageum ensemble No.22 composed by Lee, Seong-Chon
Author
성현주
Alternative Author(s)
Seong, Hyun-Ju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3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음악의 창작활동은 1960년대에 최초 국악관현악단 창설, 악기개량사업 시작, 창작 음악 발표회 등으로 본격화되었으며 1970~1990년대를 거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이성천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의 중심에서 국악창작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여러 악기 중에도 특히 가야금 독주곡을 많이 작곡하였다. 그 중 가야금 중주곡 제22번 <빨간 음악>은 그가 작곡한 가야금 창작곡 중 몇 안 되는 중주곡으로, 자연을 중시한 그의 사상이 잘 나타나는 곡이다. 이성천 작곡 “가야금 중주곡 제22번 <빨간 음악>”은 총 3악장으로, 고음가야금, 중음가야금, 저음가야금 3중주로 연주한다. 이 곡을 Tempo 변화와 전개방식의 특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악장 ‘하늘의 소리’는 5/4박자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 리듬을 토대로 한 14가지 형태의 리듬형과 그것이 이루는 구조가 중요시 된다. 1악장은 A-1부분, A-2부분, B부분, C부분으로 나누었다. 파트Ⅲ의 독주 부분인 B부분을 제외한 A-1부분, A-2부분, 그리고 C부분 각각의 첫 단락은 등장하는 선율의 유형과 등장 시점을 토대로 정리했을 때 상당히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이 단락들은 길이가 점점 축소되나 세부적으로는 복합 발전된 형태로 변형되는 특징을 보인다. 즉, 1악장 전체에서 B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A와 C부분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1악장의 형식은 A - B - A′로 정리할 수 있다. 2악장 ‘이 땅의 슬픈 노래’는 전체 4/4박자로 되어 있으며, 8개의 부분으로 나누었다. 도입부인 A부분은 4/4박자이나 리듬 구성이 5박으로 되어있어 1악장과 2악장을 이어주는 연결구 역할을 하는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또 도입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여린 악상의 서정적인 선율이 출현하여 리듬형의 구조가 중시된 1악장과 대조를 이룬다. 2악장의 마지막 부분은 프레이징과 악상을 중심으로 3박씩 구분되어 다음 악장이 3박 계열로 변화함을 암시하며 마무리된다. 2악장을 연주순서대로 나열하면 A-B-C-D-E-F-G-C-D-H가 되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형식을 정리하면 2악장은 A - B - C - B 네 형식, 혹은 네 형식의 변형된 형식이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 A - B - C - B′] - D - [ A′- B″- C - B′] - E 가 된다. 3악장 ‘인류, 우리들에게 미래는 있는가.’는 1, 2악장과 다르게 악장 안에서 박자가 변화한다. 3악장의 도입부인 A부분은 파트Ⅰ의 독주 부분이며, 기준점을 정했을 때 그 마디를 중심으로 양쪽의 박자와 꾸밈음의 개수가 데칼코마니 형태처럼 똑같이 마주보는 특징을 보인다. B부분에는 ♩.♩.♩.♩. 리듬을 토대로 한 6가지의 리듬형을 중심으로 선율을 이루어 1악장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등장한다. 그 다음 부분에는 모든 파트가 같은 선율을 연주하거나 혹은 리듬형은 모두 다르나 같은 음정을 강조하는 형식이 나타나 2악장에서의 16분음표 4연음 진행과 유사한 느낌을 연상시킨다. 곡의 마지막 부분인 C부분은 3악장에서 가장 느린 Tempo를 보이며, 악상이 점점 작아져 곡 전체에서 가장 작은 악상인 피아니시모로 마무리된다. 3악장은 각 부분이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A, B, C 각 부분의 형식은 A - B - C 로 정리된다. 작곡가는 이처럼 하늘 ․ 땅 ․ 사람의 세 가지 요소를 각 악장의 주제로 삼고 악장별로 특징을 구분하여 표현하였다. 가야금 중주곡 제22번 <빨간 음악>은 작곡가 이성천의 표제적 성향이 잘 나타난 곡이라 할 수 있다.|Starting in 1930, wri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prospered by establishment of the first orchestra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improvement of instruments and recitals of original scores in 1970s to 1990s. Lee seong-chon had taken the essential role of writing Korean music through that time, especially making pieces for solo Gayageum,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Among scores written by him, which is 22nd is a rare Gayaguem ensemble. This score is characterized by emphasizing his idea of admiring nature. has there movements and is made of an ensemble of high, middle, low pitched Gayguem. I have analyzed this song by tempo and the manner of developing this song. The result is that first movement is composed of 5-4 beats and 14 types of rhythm which are based on '♩♩♩'. These rhythm and structures are very fundamental. This movement can be separated by A-1, A-2, B and C. Aside from ‘B’ in part III, A-1, A-2 and C has similarities. These are that length is getting smaller but in detail it is getting complicated. In short, except from B in first movement, ‘A’ and ‘C’ have quite similar characters. It can be summarized as ‘A – B – A’. Second movement is composed of 4-4 beats and can be separated by 9 parts. ‘A’ which is the beginning of this movement and 4-4 beats is composed of 5 beats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nnec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movement. Aside from the beginning part, the rest of movement has soft and emotional tune and contrasts with first movement. The end of second movement which has phrasing and dynamic is parted by 3 beats, which makes us assume next movement would be composed of 3 beats. Third movement distinctively has changes of rhythm. ‘A’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is a solo and has the same number of beats and grace notes at a particular point. ‘B’ has 6 types of rhythms based on '♩.♩.♩.♩.' rhythm and is composed of melodies which make us remind of first movement. Next parts have same melodies or different types of rhythms but it has types which are emphasizing tunes. ‘C’ has the slowest tempo in this movement and is ending with pianissimo. The composer, Lee seong-chon, made a sky, earth and human-being each movement’s main ideas and expressed them in each movement. has the hallmark of his program music style.; Starting in 1930, wri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prospered by establishment of the first orchestra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improvement of instruments and recitals of original scores in 1970s to 1990s. Lee seong-chon had taken the essential role of writing Korean music through that time, especially making pieces for solo Gayageum,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Among scores written by him, which is 22nd is a rare Gayaguem ensemble. This score is characterized by emphasizing his idea of admiring nature. has there movements and is made of an ensemble of high, middle, low pitched Gayguem. I have analyzed this song by tempo and the manner of developing this song. The result is that first movement is composed of 5-4 beats and 14 types of rhythm which are based on '♩♩♩'. These rhythm and structures are very fundamental. This movement can be separated by A-1, A-2, B and C. Aside from ‘B’ in part III, A-1, A-2 and C has similarities. These are that length is getting smaller but in detail it is getting complicated. In short, except from B in first movement, ‘A’ and ‘C’ have quite similar characters. It can be summarized as ‘A –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7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2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