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0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의 결정요인분석

Title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의 결정요인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Author
윤소영
Alternative Author(s)
Yoon, So Young
Advisor(s)
사공진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2008·2009년의 231개 시·군·구 횡단면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의 장기요양보험 급여에 관련된 요인들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1인당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급여비」를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급여수준의 대표로서 설정하였고, 재가서비스 이용률, 시설서비스 이용률, 재가서비스 1인당 급여비, 시설서비스 1인당 급여비로 분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노인들이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인정을 받아야만 하므로 인정비율과 인정률의 결정요인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소득, 요양의 필요성, 가족의 형태, 서비스로의 접근성, 지역 산업 및 행정 특성, 본 제도와 대체성을 가진 변수들이 각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마찬가지로 장기요양보험의 급여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의 소득수준의 경우 주민세가 높아질수록 급여실적이 낮았고, 고소득자의 비중이 높은 지역이나 기초생활수급자의 비중이 높은 지역이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급여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요양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65세 이상의 여성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있어 급여실적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가족의 형태는 급여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지역일수록 급여실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에 종사하는 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급여실적에 대해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지역의 재정현황과 인구증가율, 지역더미와 같은 지역의 행정적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의료기관의 병상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급여실적에 유의한 부의 관계를, 의사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장기요양보험의 재정적 안정을 위해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요인에 대해서는 정책적 해결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제도의 본인부담금의 조정과 서비스 과다사용에 대한 지속적 감시를 통해 소득형평성에 맞는 제도를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 예방서비스의 확대와 보건복지서비스와의 연계 등 등급외자에 대한 꾸준한 관리를 통해 노인건강의 질을 높이고, 가족수발을 장려하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서비스 인프라의 수치적인 확대만이 아닌 접근 형평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수치적 확대가 형평적인 서비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소득, 니즈, 접근성 등을 고려한 참된 형평성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using 2008 and 2009 cross-sectional data. Per capita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can be divided into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institutional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per capita home care services benefits, and per capita institutional care services benefits, which a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our regression analysis. Admission rate and the ratio of the admitted to the applicant also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income level, needs for care, family type, access to the servi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higher is the regional income and the more of the female residents, the more a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easier is the access to the services, the more are the insurance benefits. In the rural area, the level of the insurance benefits is relatively high. We propose that copayment rat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hould be examined and monitoring on the over-use of the services should be done. Also preventive services and care by the family member should be expanded.;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using 2008 and 2009 cross-sectional data. Per capita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can be divided into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institutional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per capita home care services benefits, and per capita institutional care services benefits, which a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our regression analysis. Admission rate and the ratio of the admitted to the applicant also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income level, needs for care, family type, access to the servi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higher is the regional income and the more of the female residents, the more a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easier is the access to the services, the more are the insurance benefits. In the rural area, the level of the insurance benefits is relatively high. We propose that copayment rat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hould be examined and monitoring on the over-use of the services should be done. Also preventive services and care by the family member should be expand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5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7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ECONOMICS(응용경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