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7 0

단백질원과 단백질 함량에 따른 흰다리새우의 성장효과

Title
단백질원과 단백질 함량에 따른 흰다리새우의 성장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different protein sources and levels of feed on growth of the juvenil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uthor
김은지
Advisor(s)
이수재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료의 주원료가 되는 고가의 어분에 대한 대체사료 개발과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최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정 단백질 사료기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백질원과 단백질 함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흰다리새우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대체사료 개발을 위하여 단백질원을 어분(FM, Fish meal)과 대두박(SM, Soybean meal)으로 제조하였고, 성장에 필요한 적정 단백질 함량을 찾기 위해 사료 내 단백질의 함량은 30%, 40%, 50% 로 하여 (P30, P40, P50)사료를 제조하였다. 사료실험용 흰다리새우 (1.68 ± 0.6 g, WT, 500 shrimp m-3)를 각 수조에 75마리씩 입식하여 4주 동안 사육하였고 먹이는 하루에 세 번 (10:00, 16:00, 22:00) 체중의 8% 를 공급하였다. 단백질원에 따른 실험 결과 각 실험구의 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의 4주 간의 변화는 SM 실험구가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흰다리새우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농도는 아니었다. 흰다리새우의 평균 무게는 FM는 4.50 ± 0.82 g, SM는 4.73 ± 0.95 g으로 SM에서 좋은 성장을 보였으며, 주간 성장률, FCR, 증체율은 두 실험구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고, 사료 효율과 단백질 전환효율은 SM이 높은 값을 보였다. 건강도 판정의 지표가 되는 RNA/DNA ratio 분석은 차이가 없었으며 두 사료로 성장한 흰다리새우의 건강도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육 내 단백질 농도는 FM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흰다리새우의 소화기관인 간췌장, 전장, 중장에서 측정한 trypsin 활성은 동일한 것으로 보여지며, 체성분분석에 대한 결과도 FM과 SM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두박으로 제조된 사료 SM이 어분으로 제조된 FM과 건강도 및 소화효소가 동일한 결과에서 성장률과 FCR, 증체율, 단백질 전환효율이 높고 가격도 저렴하여 어분의 대체사료로 대두박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단백질 함량이 다른 사료로 실험한 사육기간 동안의 수질 변화를 보면 P50 실험구가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으나 흰다리새우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농도는 아니었다. 최종 평균 체중은 실험구 P30에서 4.16 ± 0.91 g, 실험구 P50은 4.29 ± 0.91 g, 그리고 P40은 4.92 ± 1.06 g 로 실험구 중 가장 높았다. 사료효율, 증체율 및 주간 성장률에서 P40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단백질 전환효율은 P30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RNA와 DNA 평균농도의 비율은 P30, P40, P50 실험구가 유사한 값을 보였고, 근육 내 단백질 함량은 P30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P40과 P50은 유사하였다. 소화기관에서 측정한 trypsin 활성은 거의 동일한 활성을 보여 단백질 함량에 대한 소화효율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일반성분 분석항목 중에서 조회분은 전어체와 가식부 모두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양상이 보였다. 가식부로 분석한 아미노산은 각각에 항목에 대해서 실험구마다 큰 차이가 없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에 따라 단백질 함량이 다른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흰다리새우는 유사한 RNA/DNA 비율과 동일한 활성의 trypsin 에 대해 성장률과 사료효율 및 증체율이 P40에서 높은 것으로 보아 흰다리새우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사료 내의 단백질 함량은 40% 가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3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7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MOLECULAR AND ENVIRONMENTAL BIOSCIENCE(분자생명환경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