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 0

족부 연부조직 결손의 수술적 재건

Title
족부 연부조직 결손의 수술적 재건
Other Titles
Soft Tissue Defects of the Foot: A Surgical Reconstruction
Author
이학승
Alternative Author(s)
Lee, Hak Sung
Advisor(s)
안희창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족부는 외상 및 혈액 순환 장애에 취약하여 결손이 비교적 쉽게 발생하는 부위로 뼈와 건의 노출이 흔하며 연부 조직 결손의 피복 외에도 기능적 회복과 회복 후 체중 지탱에 대한 내구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부위이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명의 외과의에 의해 시술된 족부 연부조직 결손의 환자 중 퇴원 후 12개월 이상 추적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족배부로 분류하여 결손 크기, 수술방법, 합병증 및 불편사항, 재수술 여부를 조사하였다. 전족부는 총 18예였으며(유리피판술 11예, 피부이식술 5예, 일차봉합 2예), 중족부는 총 8예였으며(유리피판술 2예, 국소피판술 2예, 피부이식술 4예), 후족부는 총 27예였으며(유리피판술 14예, 국소피판술 12예, 피부이식술 1예), 족배부는 총 14예(유리피판술 7예, 국소피판술 1예, 피부이식술 6예)였다. 전족부 평균 결손의 크기는 평균 7.3cm x 5.2cm이었으며 유리피판 시행 환자군에서 경미한 피부 괴사, 궤양, 과도한 부피가 각 1예씩 발생하였다. 일차봉합 환자 1예에서 골수염이 발생하였다. 피부이식 2예에서 장기간에 걸쳐 골노출을 동반한 궤양과 1예에서 골수염이 발생하였다. 중족부의 평균 결손크기는 평균 5.3cm x 4.0cm이었으며 피부이식 3예의 경우 모두 중족부 내측으로 체중이 부하되지 않는 부위에 시행하였다. 중족부의 경우 8예 모두에서 별다른 합병증이 관찰되지 않았다. 후족부의 평균 결손크기는 7.4cm x 5.6cm 이었다. 후족부 재건의 경우 과도한 부피가 3예 관찰되었으며, 반흔 조직에 발생한 과각화증과 불안정한 반흔으로 인한 통증 호소 3례, 피판이 미끄러지는 느낌을 호소한 경우가 2예, 경미한 피부괴사와 궤양, 신경종이 각 1예가 관찰되었다. 국소피판에서는 1예에서 경미한 피부 괴사가 발생하였다. 족배부의 평균 결손 크기는 8.1cm x 4.9cm 이었으며, 유리피판에서 경미한 피부괴사 2예, 과도한 부피가 1예 발생하였다. 피부이식에서는 피부 찰과상이 3예에서 관찰되었다. 족부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에 있어 중족부의 내측부와 건 노출이 없는 족배부의 결손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에서 체중 부하와 주요 구조물 노출을 고려하여 피판술로 충분한 두께로 피복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피판축소술을 시행한 경우는 있었지만 능동적 보행시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드물었다. 장기적인 관찰에서 체중이 부하되는 후족부의 합병증이 많은 편이었다. 결손이 크지 않고 충분한 부피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국소피판술 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족부에 피판술을 시행했을 경우 감각 이상보다는 오히려 과각화증과 불안정한 반흔으로 인한 통증, 피판이 두꺼워서 밀리는 느낌을 불편해하는 경우가 더 흔하며, 내구성(durability)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8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3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