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5 0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의 정책변동 분석

Title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의 정책변동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Policy Change emerging from the bid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uthor
서세훈
Alternative Author(s)
Seo, Se Hoon
Advisor(s)
임태성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10년 이상에 걸친 3차례의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도전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주체 집단 간의 공공갈등 구조 및 정책변화 과정을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CF: Advocacy Coalition Framework)을 통해 분석하여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된 정책변동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과정을 자료수집 준비, 증거자료 수집, 자료 분석 등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먼저, 자료수집 준비 단계에서는 분석에 필요한 자료수집 계획과 함께 사례연구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증거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문서, 기록정보, 조사자료, 인터뷰 내용 등을 분석 자료로 수집ㆍ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범주화를 위해 증거사슬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시계열분석, 설명하기, 논리모델을 분석방법으로 채택ㆍ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의 정책변동에서 외생변수는 옹호연합의 신념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책변동의 주요 기제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외생변수 중 안정적 외적 변수에 해당하는 생태보호구역, 개발-보전지향의 상충, 국제스포츠교류 활성화, 국제체육대회 유치에 관한 규정 등은 유치 관련 정책을 장기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적사건에 해당하는 높은 진보개혁성향, 편향적 여론, 시민단체의 급증, 다수 정당의 입장은 정책변동에 급진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하위체제 내 옹호연합은 자신들의 신념을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해 전략적 수단을 통해 외생변수를 자원으로 활용한 사실을 파악하였다. 셋째, 정책하위체제 내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옹호연합의 적극적인 태도가 타 연합에 비해 유리한 입지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책중개자의 부재 속에 옹호연합 간 갈등으로 인한 극단적인 상황이 정책합의경로인 공청회, 토론회 등과 같은 정책학습을 유도함으로써 이성적인 타협점을 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러한 정책변동 과정을 거쳐 산출된 정책결정은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안’이라는 유치 지원 관련법 재정을 이끌었으며, 이에 따른 국제경기대회 지원 기준 확립, 유치 승인 절차 확립, 지원범위 확립, 대회관련시설의 인ㆍ허가 기준 확립 등의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안’은 옹호집단 간 경쟁에 의해 산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생변수와의 인과적 관계 또한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abatier(1988)는 외생변수(안정적 외적 변수, 외적 사건)에 영향을 받는 옹호연합 간 경쟁과정을 통해서 정책이 변동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해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관련 정책변동을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Sabatier의 정책변동 개념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정책변동의 핵심주체인 개발옹호연합은 외생변수의 전략적 활용과 효율적인 정책학습을 통해 마침내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안’이라는 정책결과를 산출함으로써 제도적 측면에서의 정책변동을 이끌었으며, 이러한 정책결과는 Sabatier가 제시한 정책변동의 필요조건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법률의 제정, 개정, 및 폐지 등과 같은 공식적인 제도의 변화가 옹호연합의 자원 또는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정책변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안’은 이전의 한시적인 특별법에서 지속적인 일반법으로 회귀하는 정책변동을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licy change emerging from the bid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rough the lens of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oder to analyze the public conflict structure and policy change process among policy subjects. This study, as a qualitative case study, divides the analysis process into 3 steps; data prepara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In the preparation stage, a date collection plan was set up, and a case study protocol was made as well. In the date collection stage, related documents, reports, information, research dates were collected, and a chain of evidence, a database were established for categorization as well. Finally, in the analysis stage, time series, explanation, and logic model method were use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of all, external variables in the policy change process emerging from the bid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how the function as main sources affected to the belief system of policy advocacy coalitions. Especially, a natural ecology protection area, goal-oriented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exchanges, regulation regarding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 bid in stable external variables show gradual change of support-related policy for mega sports bid for a long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 strong progressives, biased public opinion, sudden increase of civic groups, political parties' position in dynamic external events have radical effects on the policy change. Second, advocacy coalitions in the subsystem of policy uses external variables as resources through the strategic means in order to reflect their beliefs to policy change. Third, advocacy coalition with positive attitude through the various social network in the subsystem of policy has an positive effect on securing stronger footholds in the policy change process than others. Fourth, in the absence of arbitrator, extreme situations by conflict between advocacy coalitions lead an effective policy learning such as public hearing, debate, and forum. Fifth, the decision making produced through the policy change process lead the establishment of new support-related law for mega sports event bid, and policy impact from the decision making expect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criteria, approval process, support range, and permission criteria as well. In conclusion,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 Assistance Bill’ was not only produced by conflicts between policy advocacy coalitions, but also form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variables. Sabatier(1988) defined that a policy would be changed through the rivalry between advocacy coalitions affected by external variables(stable & dynamic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reflected Sabatier's notions in terms of policy change analysis related to the bid for host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rough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From this perspective, development advocacy coalition led the policy change in the institutional aspect by producing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 Assistance Bill’ through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external variables and the effective policy learning, and so this policy result fully accepts Sabatier's idea. In these terms,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 Assistance Bill’ causes the policy change which means returning to a continuous general law from a previous temporary special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licy change emerging from the bid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rough the lens of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oder to analyze the public conflict structure and policy change process among policy subjects. This study, as a qualitative case study, divides the analysis process into 3 step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4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6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