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1 0

중국 上海의 근대도시로의 이행과정에 관한연구 (1843~1943)

Title
중국 上海의 근대도시로의 이행과정에 관한연구 (1843~1943)
Author
최지해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대별 지도와 당시의 기록 및 정치, 역사, 문화 등의 역사서를 살펴보고 또, 무역량, 인구의 이동 및 변화 등의 통계자료와 상하이의 지정학적 위치, 지형적 특징 등의 자연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하여 당시의 지도에 투영시켜 보았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서 도로확장 및 도시구조의 변화과정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도시경관에 대해서는 당시 제작된 그림이나 사진 등을 통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어떤 경관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원래 상하이는 장강하류의 퇴적지형으로 크고 작은 하천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수로중심의 지역이었다. 1843년에 개항을 하고 1845년에 조계지가 설치된 후, 조계지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필요에 따라 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개항초기에는 외국인의 인구가 적었기 때문에 하천을 따라 난 길이나 주민들이 사용하던 도보 길을 활용하여 도로를 확장시켜 나갔다. 점차 인구가 늘어나면서 도로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는데 하천을 활용한 격자체계의 도로체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매판양식의 건축물이 상하이에 처음 등장하게 되면서 새로운 도시경관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태평천국운동의 여파로 1860년부터 조계지에 인구가 갑작스럽게 몰리면서 도로가 무질서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상하이공부국은 도로재정비 계획을 세우고, 도로에 관한 규정을 정하여 체계적으로 도로를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보조간선도로들을 확장시켜 전체적으로 격자체계의 도로를 완성하였다. 조계지 영역 밖으로 도로가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또, 다양한 도로시설물과 새로운 건축양식으로 도시경관이 또 한 차례 변하기 시작하였다. 1890년대부터 외국인들이 상하이에 자유롭게 근대식 공장을 지을 수 있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상하이는 산업사회로 들어서게 되었다. 1899년부터 1914년까지 조계지 영역이 대규모로 확장이 되고 새로운 도로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새 도로계획은 개항초기와 마찬가지로 하천의 분포상황에 따라 도로의 방향과 간격을 설정하였다. 1900년대에는 근대식 교통수단이 등장하였고, 1910년대에는 조계지간의 경계역할을 했던 주요 하천들이 주요 간선도로로 바뀌게 되었다.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근대산업사회로 접어든 상하이는 주요 간선도로변에 고층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1920년대에도 인구가 계속해서 상하이에 몰리게 되면서 아직 개발이 되지 않고 있었던 프랑스조계지의 서쪽지역을 주거지역으로 개발하였다. 대부분의 조계지서쪽지역은 대부분 주거지역으로, 공공조계지의 북쪽이나 동쪽은 공업지역, Bund를 중심으로 금융업이 발전하였고, 그 주변으로는 상업지역으로 발전하면서 조계지 영역 안에서 지역별 성격이 분명해졌다. 이러한 공간구조는 다양한 도시경관을 만들어 냈고, 근대도시경관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1937년 일본의 침략으로 발전이 주춤하기 시작하다가 1943년에 일본이 조계지에 관한 권한을 중국에 반환함으로써 조계지의 역사는 끝이 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조계지의 도로체계는 기본적으로 격자체계로 되어있으며, 하천의 분포상황에 의해서 간선도로의 방향과 간격 및 블록의 크기가 결정되었다. 둘 째, 조계영역 밖으로 확장된 도로는 유기적인 형태의 도로이지만 조계지 경계가 확대되면서 조계영역 안으로 포함된 후에는 보조간선도로와 함께 격자체계로 바뀌어 나갔다. 셋 째, 조계지역이 확대되면서 중심지역과 외곽지역의 성격이 뚜렷해지고, 도시공간은 크게 상업, 주거 및 공업중심 지역으로 구분이 되었고, 도시경관도 이러한 지역성을 나타내면서 근대도시경관을 띠게 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2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5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