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0 0

TV 휴먼다큐멘터리의 인터뷰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TV 휴먼다큐멘터리의 인터뷰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change in the Interview pattern of TV haman documentaries
Author
이주갑
Alternative Author(s)
Lee, Joo Gap
Advisor(s)
김재범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 요지 다큐멘터리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보통 관찰적 요소, 인터뷰, 내레이션(해설), 함축적 국면(몽타쥬) 등으로 나뉜다. 이 중 인터뷰는 특정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 제작진이 출연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뷰는, 인터뷰어의 인터뷰이에 대한 다양하고도 심도있는 질문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출연자의 생각을 반영하고, 일종의 증언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신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휴먼 다큐멘터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다. 따라서 출연자들의 이야기에 대한 직접적인 증언인 인터뷰는, 프로그램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모든 휴먼 다큐멘터리에서 인터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뷰가 사실성이나 자연스러움을 해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인터뷰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적극적인 인터뷰를 통해 보다 많은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의 휴먼 다큐멘터리에서는 인터뷰가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휴먼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인터뷰 활용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나 추세적인 분석은 극히 드문 형편이다. 82년 MBC에 입사해 주로 다큐멘터리 분야의 제작(PD)에 종사하고 있었던 본 논문저자는, 다큐멘터리 그 중에서도 휴먼 다큐멘터리에서 인터뷰 사용빈도가 최근에 올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는 느끼고 있었다. 이런 현상을 언젠가는 실증적으로 검증해, 체계를 갖춰 정리해 봐야겠다고 평소에 생각했던 것이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된 동기였다. 본 논문을 통해 MBC 휴먼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인터뷰 사용빈도 및 형식의 시기에 따른 변화, 그리고 변화의 원인을 조사해 보았다. 평소에 제작현장에서 경험적으로 느꼈던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는 점이, 작지만 본 논문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연구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설정했다 1) 휴먼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시기별 인터뷰 사용빈도 변화는 어떠한가? 2) 휴먼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시기별 인터뷰 형식 변화는 어떠한가? 3) 변화가 있다면 인터뷰 사용빈도 및 형식의 변화원인은 무엇인가? 조사대상 휴먼 다큐멘터리로는 MBC의 대표적인 휴먼다큐멘터리들을 선정했다. 86년에 방송된 “인간 시대”, 96년 방송 “신 인간시대”, 2006년 방송 “MBC 휴먼 다큐멘터리 사랑 시즌 1”, 2011년 방송 “MBC 휴먼 다큐멘터리 사랑 시즌 6”이 그 것이다. 이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반응 등을 고려할 때, 각 시기 별로 MBC 휴먼다큐멘터리를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결과 휴먼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인터뷰 활용빈도는 최근에 올수록 더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인터뷰 형식 또한 단순히 인터뷰이의 답변을 듣는 비 참여적 형식에서, 인터뷰어가 인터뷰어의 음성, 영상 그리고 자막 등을 통해 인터뷰의 진행이나 내용에 관여하는 참여적 형식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적 형식의 인터뷰는 인터뷰의 내용을 보다 강화한다. 인터뷰 빈도 및 형식 변화 원인의 조사방법으로는, 조사 대상 프로그램 제작 담당 PD와 작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출연자의 생각, 감정을 보다 분명히 하기위해>, <제작자(PD, 작가)의 관점을 보다 명확화 하기 위해>, <시청패턴의 변화 때문에(생각 판단할 시간이 많이 주어지기 보다는 내용이 빨리 전달되는 것을 시청자들이 선호>, , <영상표현을 보다 다양화 하기위해>, <제작비나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등이 주요한 변화 원인으로 나타났다. MBC 휴먼 다큐멘터리만을 조사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표본의 한계가 있지만, 인터뷰에 대한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인터뷰 빈도, 형식 등의 시기적 추세 변화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0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9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언론정보대학원) > 방송영상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