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6 0

소아 청소년과 성인의 사마귀 환자에서 diphenylcyclopropenone 면역요법의 치료효과 비교

Title
소아 청소년과 성인의 사마귀 환자에서 diphenylcyclopropenone 면역요법의 치료효과 비교
Author
강호송
Advisor(s)
김정수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마귀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의 양성 증식성 질환으로, 환자의 연령, 면역상태, 사마귀의 위치와 개수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사마귀 치료에서 면역요법은 사마귀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손바닥 발바닥 등 압력과 자극을 많이 받는 곳에 발생하여 침습적인 치료 후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사마귀 치료에 따른 통증을 견디지 못하거나, 손발톱 주위에 발생하여 손발톱의 변형이 예상될 때에도 사용하기 적합하다. 사마귀에 대한 면역요법으로는 diphenylcyclopropenone (DPCP)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사마귀 치료에 대한 DPCP의 민감화 및 치료율, 치료기간, 부작용 등은 여러 문헌에 다수 보고되어 있으나, 소아 청소년과 성인 각각의 DPCP 치료에 대한 민감화 및 치료율, 치료기간, 부작용 등을 비교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소아 청소년과 성인의 사마귀 치료에 있어서 DPCP 치료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DPCP 치료를 받은 사마귀 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하여, Nelson 등이 제시한 분류에 따라 20세를 기준으로 소아 청소년 72명과 성인 71명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병변의 발생부위는 소아 청소년 93예, 성인 87예로 총 180예로 조사되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손발톱 주변이 69.9%, 57.5%로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DPCP로 민감화를 시행한 143명의 환자 중 0.1% 용액에 민감화 된 경우가 소아 청소년은 63명(87.5%)이었으며, 성인은 60명(84.5%)이었다 (p>0.05). DPCP에 의한 사마귀의 치료율은 총 180예 중 159예(88.3%)에서 완치되었으며, 소아 청소년 93예 중 86예 (92.5%)에서 완치되었고, 성인 87예 중 73예(83.9%)에서 완치되었다(p>0.05). 모든 완치된 환자들의 평균 치료기간은 20.22±2.59주였으며, 소아 청소년에서는 17.72 ±2.69주, 성인에서는22.92±2.59주로 나타나 소아 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병변이 소실되기까지의 기간이 짧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이를 종합해 볼 때 DPCP를 이용한 면역요법은 사마귀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냉동치료시 통증에 민감한 소아 청소년과 성인 모두에서 유용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소아 청소년에서 DPCP를 이용한 면역치료가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59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3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