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유형-
dc.contributor.author심창현-
dc.date.accessioned2020-03-09T02:39:51Z-
dc.date.available2020-03-09T02:39:51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09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921en_US
dc.description.abstract어느 조직에서든지 리더의 역할은 중요하게 다뤄지며 리더의 성향과 태도, 행동에 따라 조직 전체의 분위기나 성과 등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Yukl, 2002). 최근 리더십 연구자들은 팀 수준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팀 수준에서의 리더의 역할이나 맥락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CEO의 리더십과 같은 맥락에서 분석수준만 달리하여 팀 수준 리더십에 그대로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팀 리더가 구성원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팀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엄연히 구분되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리더-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리더-팀 간 상호작용을 구별 없이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연구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리더는 최고경영자와 달리 지원적 리더십(Supportive leadership, Northouse, 2004)이 보다 더 많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이러한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IPO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은 팀 리더가 팀 구성원들의 복지와 욕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작업집단 내에 우호적인 풍토를 조성하려고 노력하는 리더십 행동을 의미한다 (House & Mitchell, 1974). 리더십은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지각하는 구성개념이며, 팀 구성원들이 리더로부터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양식을 학습하고 기준을 가지도록 돕는다. 지원적 리더십은 보다 광범위한 변혁적 리더십에 비해 개별적인 관심에 초점을 두며 구성원들의 발전을 지향하는 리더십이다 (Rafferty & Griffin, 2004). 이러한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영향을 주는 결과 변수로 팀 전체와 개인의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 성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Hackman(1987)이 제시한 IPO 모형을 바탕으로 리더십과 결과 변수 간 관계에서 팀 협력과 개인의 직무만족 및 팀 몰입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동시에 팀 협력 수준이 개인 수준의 직무만족 및 팀 몰입과 결과 변수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한 대기업의 78개 팀에 근무하는 690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팀 수준 변수들에 대해서는 팀 수준 변수로의 병합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팀 수준과 개인 수준, 그리고 교차 수준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 분석과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각 팀 수준과 개인 수준에서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직무 성과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이 관계를 연결하는 매개 경로를 밝혀주었다. 팀 수준 프로세스로 설정한 팀 협력은 팀 성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하지 못하였으나, 팀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개인 태도 변수인 직무만족과 팀 몰입도 개인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해서는 모두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성과에 대해서는 매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팀 수준과 개인 수준의 프로세스는 모두 개인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교차수준의 매개 경로 역할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성과에 대해서는 교차 수준 매개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에 관한 검증도 마찬가지로 팀 수준 프로세스는 개인 수준 매개변수와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팀과 개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입증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IPO 모형을 통해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개인과 팀의 결과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봄과 동시에 다수준 분석을 통해 다양한 경로를 밝혔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팀과 개인의 직무 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관하여 Hackman(1987)의 IPO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이론적 타당성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이 팀 전체와 각 개인들에 대하여 다수준적 영향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도 팀 리더의 리더십 행동에 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팀 리더의 지원적 리더십과 성과 및 OCB 간 관계에 대한 매개 및 조절 효과의 다수준적 접근-
dc.title.alternativeA multilevel analysis of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ders' supportive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and OCB-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심창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im, Chang H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