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 0

당뇨병 진단에 사용되는 세 검사의 임상적 특성 비교

Title
당뇨병 진단에 사용되는 세 검사의 임상적 특성 비교
Author
최재훈
Advisor(s)
박일규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혈액속의 포도당(glucose)을 측정하여 고포도당혈증(hyperglycemia)이 있을 경우 진단 하여왔다. 2010년 미국 당뇨 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서 당뇨병의 진단기준으로 공복혈당(Fasting Plasma Glucose, FPG) 126mg/dL 이상, 75g 2시간 경구 포도당부하 검사(75g 2h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200mg/dL 이상과 함께, 6.5% 이상을 기준으로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HbA1c)를 추가하였다. 이제 FPG, OGTT, HbA1c 세 검사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양성이면 당뇨병으로 진단되지만, 세 검사가 가리키는 혈당대사의 상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세 검사 중 어느 검사들이 양성인지에 따라 임상적인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진단의 gold standard로 알려진 OGTT를 다른 두 검사와 대등하게 놓고 세 검사들 사이에서 보이는 임상적 특징의 차이를 서로 비교하여 보았고, 각 검사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따라 진단외에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의심되어 FPG, OGTT, HbA1c 와 함께 인슐린(insulin) 및 일반화학검사, 일반뇨검사를 같은 날 시행한 18세 이상 성인 남녀 7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가지 검사 각각에서 나머지 두 검사의 결과와 무관하게 한 가지 검사의 결과를 기준으로 나누어 당뇨병 진단율 및 임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3가지 검사 각각의 당뇨병 진단 양성과 음성 결과에 따라 조합하여 8개 군으로 나눈 후, 관찰하려는 검사 외에 다른 검사의 결과가 일치하는 군들을 선택하여 이들 사이에 임상 특성을 3가지 검사 각각에서 알아보았다. 임상특성은 인슐린 저항성, 간손상, 이상지질혈증, 신부전, 케토산증의 지표들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FPG, OGTT, HbA1c, 세 검사의 양성자는 각각 379명, 591명, 548명으로 양성률은 각각 50.3%, 78.4%, 72.7%이었다. 나머지 두 검사가 양성이며 FPG가 양성과 음성을 보인 두 군 사이에는 FPG도 양성인 군에서 그룹을 나누는데 사용된 FPG 뿐 아니라 HbA1c, OGTT, 그리고 HOMA-IR, ALT, TG가 더 높았고, Urine glucose의 양성비율이 더 높았으나 나이는 더 어렸고 insulin 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나머지 두 검사는 음성을 보이며 OGTT만 양성 음성으로 서로 다른 군 사이에서 FPG, OGTT, HbA1c를 제외하고 통계적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고, HbA1c의 경우도 FPG, OGTT, HbA1c를 제외하고 통계적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나머지 두 검사는 음성을 보이며 OGTT와 HbA1c만 각각 양성을 보인 환자군 사이에서 OGTT와 HbA1c가 각각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나, FPG를 포함한 다른 임상적 지표들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당뇨병을 진단하는 세 검사 중 어느 검사들에 의해 진단되었는지에 따라 환자의 임상적인 특성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세 검사가 가리키는 혈당대사의 상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임상 지표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검사는 FPG로 관찰되었으며 다음으로 OGTT, HbA1c 순이었다. 세 검사가 가지는 의의가 각각 다르므로, 세 검사를 적절히 조합하여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0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2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