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0

학습자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핵심 역량 연구

Title
학습자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핵심 역량 연구
Author
정세환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는 지식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문화와 예술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는 시대로서 개인과 국가적 차원에서 창조적 사고, 예술과 감성, 공감 능력, 관계성과 같은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적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문화적 힘의 원천인 창조적 사고의 계발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으로 문화․예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는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의 설립을 시작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예술단체등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차원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문화와 예술을 향유하고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들을 갖춘 학생들을 육성하기 위해 학교가 문화예술교육의 시작점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이론의 흐름 안에서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 사회재건주의 미술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통해 미술교육과, 학교현장에서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고, 사회정의와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하는 것에서 공통점과 시대적 정당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이 미술수업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 미술교육과 공통적으로 교육의 주체로서 학습자를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며, 이를 실제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자질과 태도에 강조점이 있음을 알아 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들이 미술교육을 통해서 실제화 되기 위해서 미술교사가 가져야 할 자질과 전문성을 최근 교육 영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역량 개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교에서 미술교사로 근무하는 현직교사들과의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핵심역량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통합적 관계 모델로 도식화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환경 조성’, ‘상호 인식 전환’, ‘모델 제시’를 학습자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을 위해 미술교사가 갖춰야 할 환경적, 인지적, 태도적 핵심역량으로 제안하고 구조적 관계 모델로 도식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를 교육의 주체로서 인식하고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미술교사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들을 실천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학습자에게 제안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In the 21st century, boundaries between areas of knowledge have been collapsing, rather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and it highlights to individuals and Nation about new dimensional ability such as creative thinking, arts and sensibility, empathic ability, and relationship. Besides, culture & arts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actual ways for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which is source of cultural power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individual’s life. In these changing of times and needs,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sistance Act was enacted in 2005, and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to improve quality of Korean's cultural life and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vitalize various dimens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ons among school, community, and culture & arts organizations. It has also been emphasized that school is the starting poi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raise students with competencies meeting needs of the future society, and enjoying culture & arts. In this study, looking at the flow of the art education theory revealed tha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historical justification and similarities between art education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which is a new paradigm of arts education in school field, with an emphasis on the social justice and responsibility and healing the conflicts and the divisions in society by considering of meaning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social reconstructionism art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in society of ar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qualities and attitudes of teachers are important an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rts and Culture Education aims at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emphasizes learners, to be practiced successfully in school field through art class. This study, thus, sought to examine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art teachers through 'competency' which is currently actively debated in education to actualize valu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art education. As a procedure of data collection, semi-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ervice art teachers to collecting a data filled with vivid school field. Responses elicited by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on the core competency for art teachers to practice learner-center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re three categories, which are schematized as an integrated relational model. The core competency and the model, which ‘making an environment’, ‘Changing mutual perception’, ‘proposal of a model’ are lastly sugges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prerequisite for art teachers and learners' environmental, cognitive, and attitudinal conditions to pract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art teachers should first be suggested as a model practic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values for learners to get identity as an ‘Agent’ in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boundaries between areas of knowledge have been collapsing, rather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9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9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