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이 유아의 한글단어학습 성취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이 유아의 한글단어학습 성취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Illustrations representation type on Korean word learning achievement and preference of infants : Korean textbook for 6 years old infants grown in Multicultural home
Author
박영화
Alternative Author(s)
Park, Young Hwa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외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유아를 낳아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다문화가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수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는 외모의 차이로 인한 사회적인 편견뿐만 아니라 이들의 가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와 경제적 배경 그리고 의사소통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다문화가정 유아는 원만한 성장과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언어 발달의 지체, 정체성의 혼란, 학습부진 등의 학교생활 부적응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글 언어 교육에 관한 문제이다. 현재 배포중인 한글학습교재를 살펴보면 한국 학생들의 국어 교육 중심에 맞추어 제작된 교재이거나 외국인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교재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알맞은 한글학습교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유아(만 6세미만)를 대상으로 피아제(Jean William Fritz Piaget)의 전조작기 유아의 인지발달이론과 에빙하우스(Hermann Ebbin- ghaus)의 망각곡선 이론(Forgetting Curve)에 근거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유형, 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글 기초 교재의 일러스트레이션 현황분석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을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한글단어를 학습시킬 수 있는 한글학습교재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은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 유치원, 다문화센터 기관의 다문화가정 유아 총 105명을 대상으로 교육 교사 15명과 함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순서는 ①학습 전 테스트단계 → ②한글단어학습 → ③학습 후 1차 테스트 → ④학습 후 2차 테스트 → ⑤학습 후 3차 테스트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유아들의 한글단어학습 성취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를 토대로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을 상징화, 이야기화, 사실화로 분류하였고 사용된 테스트도구는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별로 한글단어를 조합하여 직접 제작 후 테스트 하였다. 한글단어선정은 관련 한글교육 교사, 시각디자인 관련 교수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가장 한국전통적인 음식, 놀이문화, 동·식물, 의식주, 한국의 사계절 등을 표현하는 기초 단어 60종을 선정하였다. 제작된 테스트도구를 사용하여 한글학습교육 후 시간대별 말하기·읽기·쓰기 각각 20개 단어씩 테스트 후 측정하였다. 한글단어학습 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과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테스트 후 학습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학부모의 한국어 능력 수준과 가정학습 시간에 따라 유아의 학습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B, C 테스트그룹 중 B그룹인 일러스트레이션 이야기화 교육 자료의 성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호도는 총 10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C그룹의 일러스트레이션 사실화 교육 자료가 42.9%(45표) 상징화 교육 자료가 30.4%(32표), 이야기화 교육 자료가 26.7% (28표)로 나타났다. 각 테스트그룹별로 1차 테스트(4시간 이후) 후 B그룹에서 교육한 이야기화 교육 자료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A그룹(상징화)과 B그룹(사실화)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60단어 중 20단어씩 말하기·읽기·쓰기 테스트를 한 결과, 전체적으로 쓰기 테스트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결과의 평균값이 가장 낮은 걸로 나타났으며 말하기와 읽기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말하기 테스트 결과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3차 테스트(48시간 이후) 후 테스트 결과 그래프를 살펴보면 B그룹(이야기화)이 가장 완만한 곡선을 보이며 타 그룹에 비해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학습 성취도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부모 설문도 실시한 결과 한국어 능력 수준과 가정에서의 유아 학습지도 시간, 국내 체류기간이 높을수록 유아의 한글 학습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선호도 조사에서는 모든 테스트를 종료 후 3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재차 교육하였고 이후 테스트자료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만 6세미만의 유아들은 보다 사실적이고 색상의 표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어린 유아일수록 단순한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형태의 평면적인 구도에 선호하였다. 이처럼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다하여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현재까지는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유형별 학생들의 선호도 관련 연구들은 국·내외에서 다수 실시되었다. 반면, 본 연구는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근거하여 시간대별, 표현유형별 테스트를 통해 학습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의미있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성취도가 가장 높았던 이야기화 일러스트레이션과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사실화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하여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한글학습 E-book 및 인터넷 교육자료, APP (application) 교육자료 등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다양한 형태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더욱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9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6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