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4 0

또래집단의 부적응 아동을 위한 긍정적 또래집단 참여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Title
또래집단의 부적응 아동을 위한 긍정적 또래집단 참여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Positive Peer Group Participation Promo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Maladjusted Children in Peer Groups
Author
조한익
Keywords
아동또래집단; 적응행동; 부적응; 아동집단상담; 재적응; 또래집단 수용도; Child peer group; Adaption behavior; Maladjustment; Child group counseling; Re-adaptation; Peer group acceptance
Issue Date
2019-01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 19, NO 2, Page. 919-94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집단으로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되는 아동기의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긍정적 또래집단 수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여 아동의 긍정적 또래관계 형성을 도와 개인의 행복한 삶을 구성하도록 돕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하반기 부터 준비기간을 거쳐 2018년 10월 까지 연구 준비단계 →프로그램개발단계→ 프로그램실행단계→ 자료분석단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개발단계에서는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고찰을 바탕으로 아동교육현장경력 5년 이상 정교사에게 실제 아동의 특성 등에 대하여 조언을 구하고 심리상담 전문가에게 프로그램 타당도에 대한 검증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단계에서는, 집단상담 참여아동을 선정하기 위하여 6-7세 아동 4개 학급 80명을 대상으로 아동적응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선별하였고, 2018년 5월부터 1주에 1회 또는 2회씩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끝으로 자료분석단계에서는,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의 긍정적 또래집단 참여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또래집단참여도, 한국아동성격검사, 사회적 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전반적으로 또래집단 적응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상담 구성원을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바, 후속 연구에서는 아동의 요구를 조금 더 세분화하여 심화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ositive peer group acceptance of maladjusted children in peer group in childhood whose social network is extended as a peer group, Helping to organize a happy lif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second half of 2017 through preparation period to October 2018 as research preparation stage → program development stage → program execution stage → data analysis stage.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we asked counselors for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child. In the program execution phase, 80 children who were in the age group of 6 to 7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e group counseling, and the maladjusted children in the peer group were selected. From May 2018, Twelve cycles were performed once or twice a week. Finally, in the data analysis stage, t-test was conducted by conducting peer group participation, Korean child personality test, and pre-post-test on social efficac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due to positive peer group particip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in peer group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ositive because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a high level of peer group adaptation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implemented for the maladjusted children in the peer group, and the follow - up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children s needs by further subdividing the child s need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0184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842
ISSN
1598-2106; 2671-776X
DOI
10.22251/jlcci.2019.19.2.9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