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볼링 투구 시 이측 사지 간 근 협응에 따른 근 활성도 분석

Title
볼링 투구 시 이측 사지 간 근 협응에 따른 근 활성도 분석
Other Titles
The Muscle Activation Analysis for Contralateral Inter-Limb Muscle Coordination Patterns Between Arm and Leg of Bowling
Author
이진규
Advisor(s)
최인애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볼링 투구 시 이측 사지 간 근 활성도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안정된 투구와 불 안정된 투구 시 나타나는 이측 사지 간 근 활성도 및 협응을 비교하여 투구 시 나타나는 근육의 Peak time의 순서를 도출하여 근육 간 상호작용에 대해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대회 상위권 입상자인 H 대학교 볼링 선수 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중 근 골격계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배제 하였으며, 모든 피험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 내용, 수행 과제 및 실험에 동반될 위험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시킨 후 참여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실험 도구로는 Noraxon 무선 근전도 시스템 TeleMyo DTS Telemetry 8CH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자료 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 18.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와 Paired t-test를 통해 자료를 산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1) 안정된 투구 시 Push Away 구간에서 대퇴 이두 근이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고, Down Swing 구간에서 비복 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다. Back Swing 구간에서 대퇴 이두 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고, Forward Swing 구간에서 대퇴 직근이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다. Follow Through 구간에서 삼각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나, Push Away, Down Swing, Back Swing, Forward Swing 구간에서는 하지 근육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Follow Through에서 어깨를 회전축으로 수축과 이완을 시키는 삼각근의 활성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불안정한 투구 시 Push Away 구간에서 대퇴 이두 근이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고, Down Swing 구간에서 비복 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다. Back Swing 구간에서 삼각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고, Forward Swing 구간에서 비복 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다. Follow Through 구간에서 삼각근의 최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나, 안정된 투구와 비교해 볼 때 Push Away, Down Swing, Follow Through 구간에서는 같은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으나, Back Swing 구간에서는 삼각근이 회전축으로 활성도 증가가 나타났고, Forward Swing 구간에서 대퇴 직근이 아닌 비복 근의 활성도가 나타나, 피험자들이 불안정한 투구를 수행하게 했다. 3) 볼링 투구 시 Peak time 순서는 모든 피험자가 안정된 투구 와 불안정한 투구 시 나타난 Peak time이 총 18회가 나타났고, S1은 Push Away 4회 Down Swing 2회, Back Swing 3회, Forward Swing 2회, Follow Through 7회로 나타났으며, Push Away 1,2,3번, Down Swing 2번, Back Swing 1.2번 Follow Through 1,2,3,6,7에서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 4번, Down Swing 1번, Back Swing 3번, Forward Swing 1,2번, Follow Through 4,5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다. S2는 Push Away에서 2번, Back Swing에서 1번, Forward Swing에서 1번, Follow Through에서 4번이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에서 1,3,4번, Down Swing에서 1,2번 Back Swing에서 2,3번, Forward Swing에서 2번, Follow Through에서 1,2,3,5,6,7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다. S3은 Push Away에서 4번, Back Swing에서 1,2,3번 Forward Swing에서 1,2번, Follow Through에서 1,3번이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에서 1,2,3번, Down Swing에서 1,2번, Follow Through에서 2,4,5,6,7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다. S4는 Down Swing에서 2번, Back Swing에서 2번, Follow Through에서 4,5,7번이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에서 1,2,3,4번, Down Swing에서 1번, Back Swing에서 1,3번, Forward Swing에서 1,2번, Follow Through에서 1,2,3,6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다. S5는 Down Swing에서 1번, Back Swing에서 3번, Forward Swing에서 2번, Follow Through에서 1,2번이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에서 1,2,3,4번, Down Swing에서 2번, Back Swing에서 1,2번, Forward Swing에서 1번, Follow Through에서 3,4,5,6,7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다. S6은 Push Away에서 1,4번, Down Swing에서 1,2번, Forward Swing에서 2번이 불안정한 투구와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났고, Push Away에서 2,3번 Back Swing에서 1,2,3번, Forward Swing에서 1번, Follow Through에서 1,2,3,4,5,6,7번이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 간 동일한 근육의 Peak time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어, 각각 개개인의 안정된 투구와 불안정한 투구에서 나타난 근육의 Peak time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개인별 운동 성향과, 루틴에 따른 리듬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근육의 활성도 량과 Peak time과의 관계는 동질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7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4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