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6 0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중재

Title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중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ailored lifestyle intervention for managing metabolic syndrome
Author
김내연
Alternative Author(s)
Kim, lea yeon
Advisor(s)
임난영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대사증후군 중재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지표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J구에 거주하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성인 중, 구민소식지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대상자 16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은 J구 보건소에서 같은 조건을 지니고 있는 대사증후군 대상자 20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일대일 개별 맞춤식 건강 상담 또는 전화 상담, 운동과 식이 교육, 자기기입식 관리 수첩을 이용한 24주간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복부둘레,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체질량 지수를 실험 전․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측정변수에 대한 정규성은 Kolmogorov- Smirnov test로 검정한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여 모수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특성의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와 t-test로, 두 군간의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과 가설검증은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복부둘레가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수축기 혈압이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3. 제 3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이완기 혈압이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4. 제 4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중성지방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5. 제 5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6. 제 6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공복혈당(FBS: fasting blood sugar)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7. 제 7가설: “실험군은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적용전보다 후에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4주간의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복부둘레, HDL-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를 개선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은 식이조절과 운동만으로 일대일 맞춤식 건강 상담이 대사증후군 관련지표를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생활습관 관련 인자들을 중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대사증후군,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7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2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