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0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 소설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 소설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Author
고경덕
Advisor(s)
류수열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초록>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 소설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고경덕 소설 창작 수업에서 문제점은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없이 목적없는 글쓰기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소설 창작 수업에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다. 먼저 몽유 모티프에 대한 예비적 고찰로 몽유 모티프의 개념과 서사 구조, 역사적 전개를 다룬다. 이러한 예비적 고찰을 통해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 서사 문학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몽유 모티프를 활용한 서사 문학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여 재능형, 역사형, 애정형 등의 3가지 유형을 제시한다. 재능형(才能)은 꿈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재능형의 경우는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좌절로 인해 꿈을 꾸고 그 안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한다. 재능형의 경우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 혹은 계획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재능형에 속하는 작품은 「용궁부연록」이다. 「용궁부연록」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면, ⅰ. 등장인물과 배경 소개 - ⅱ. 현실의 좌절 - ⅲ. 입몽 묘사: 몽중 세계 묘사 - ⅳ. 자신의 재능 발휘 - 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음 - ⅵ. 꿈의 사실성 부여 - ⅶ. 각몽 후 인식의 변화-이후의 이야기로 분석된다. 역사(歷史)형은 꿈 속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겪는 것을 말한다. 이 유형은 직접적으로 주인공이 사건을 경험하기보다는 사건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듣는 유형으로 과거의 비극적인 사건을 비판한다. 역사형에 속하는 작품은 「원생몽유록」이다. 「원생몽유록」의 구조를 분석하면 ⅰ. 등장인물과 배경 소개 - ⅱ. 현실의 좌절 - ⅲ. 입몽 묘사: 몽중 세계 묘사 - ⅳ. 역사적 사건의 경험 - ⅴ. 비극적 현실의 인식 - ⅵ. 꿈의 사실성 부여 - ⅶ. 각몽 후 인식의 변화-이후의 이야기로 분석된다. 애정형(歷史)은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서사 문학을 말한다.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한창 이성에 눈뜰 시기이기 때문에 ‘사랑’은 흥미를 가질만한 소재라고 생각한다. 학습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를 가지고 소설을 창작한다면 좀 더 용이하게 창작수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애정형에 속하는 작품은 「조신전」이다. 「조신전」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면, ⅰ. 등장인물과 배경 소개 - ⅱ. 현실의 좌절 - ⅲ. 입몽 묘사: 몽중 세계 묘사 - ⅳ. 몽중 세계에서 사랑을 이룸 - ⅴ. 이별 - ⅵ. 꿈의 사실성 부여 - ⅶ. 각몽 후 인식의 변화-이후의 이야기로 분석된다. 이러한 서사 구조는 학습자들이 창작하는 소설의 서사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쉽게 소설을 창작할 수 있다. 여기서 ‘ⅲ. 입몽 묘사: 몽중 세계 묘사’의 경우는 현실과 꿈을 구분짓는 장치로 환상적인 공간에 대한 묘사가 필요하여 설정하였다. ‘ⅵ. 꿈의 사실성 부여’의 경우는 ‘꿈’을 깬 후에 허무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꿈의 사실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제시된 3가지 유형의 서사 구조를 활용하여 소설을 창작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 창작 수업의 단계를 크게 쓰기 전 활동, 쓰는 중 활동, 쓰기 후 활동을 제시한다. 창작 방법으로는 ‘협동 작문’의 방법을 사용한다. 쓰기 전 활동에서는 서사 구조와 주제를 개인 별로 설정하는 활동을 한다. 쓰기 중 활동에서는 배경 설정, 사건 설정 등을 모둠 활동을 통해서 정한다. 이를 토대로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의 소설의 구조에 맞춰서 개인 혹은 모둠 별로 소설을 창작한다. 소설을 창작한 후에는 ‘합평’을 하는 쓰기 후 활동을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하나의 가설에 해당한다.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교수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현장에서 가르친다면 훌륭한 창작 수업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 연구한 대로 작문 수업을 진행할 때에 학습자가 모둠별 구성원들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자신의 글을 견고히 다져나간다면 좋은 창작 경험이 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4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5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