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단가 적벽부(赤壁賦)의 변천에 관한 연구

Title
단가 적벽부(赤壁賦)의 변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ransition about Danga Jeokbyeokbu
Author
이현숙
Alternative Author(s)
LEE, Hyun Suk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단가 적벽부의 변천과정을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재조명하는 시도로 창시자인 정정렬을 기점으로 박귀희, 안향련을 비롯하여 안숙선에 이르기까지의 변화양상을 세밀히 검토, 기록하고자 하였다. 단가의 연구가 체계적으로 시행된 80년대 이후 단가의 입지는 점차적으로 굳혀지고 있으나 단가에 대한 보다 폭넓고 진취적인 연구시도가 활발히 시행되어야 함은 물론 판소리의 부속물이라는 인식에서의 탈피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때문에 본 연구는 단가 적벽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단가의 전문적 입지 형성에 보탬이 되고 단가 적벽부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단가 적벽부는 중국 북송대의 명시인 소식(소동파)의 전,후적벽부 중 전적벽부의 사설에 정정렬이 곡을 붙여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적벽부는 인생의 짧음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적벽의 절경을 소식의 타고난 서정적 표현으로 풀어낸 명시라 할 수 있다. 이에 감명을 받은 정정렬이 곡을 붙여 부르면서 단가 적벽부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정정렬은 단가 적벽부 이외에도 판소리 춘향가를 새롭게 만들어 한국전통음악계에 공로를 세운 바 있으며 이를 후대에 전하고 있다. 이러한 단가 적벽부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단가의 탄생 배경을 간략히 살펴보고 사설의 구성과 붙임새를 단가 적벽부가 시초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떤 변천과정을 거쳤는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정정렬의 단가 적벽부는 총 중모리 67장단으로 이루어진 긴 곡으로 소식의 전적벽부 원문을 따르고 있다. 또한 붙임새의 종류도 다양하게 5가지 형태(대마디 대장단, 완자걸이, 괴대죽, 밀붙임, 당겨붙임)를 사용하고 있다. 이어지는 박귀희의 적벽부에서는 곡의 길이(장단)가 10장단 줄어들어 중모리 총 57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가지 붙임새의 형태(대마디 대장단, 괴대죽, 밀붙임, 당겨붙임)를 사용하고 있다. 안향련과 안숙선에 이르러서는 적벽부의 곡 길이가 대폭 축소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 중모리 총 37장단(안향련)과 총 38장단(안숙선)으로 앞선 두 명창의 곡 길이와는 큰 차이를 보이며 축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붙임새 또한 3가지 형태(대마디 대장단, 괴대죽, 당겨붙임)로 줄어들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가 적벽부의 장단 축소현상을 그저 네 명창 개인의 기호나 스타일로 보지 않고 시대적인 환경과 요구에 따른 단가의 위치 및 인식의 변화에 의한 변용이라고 추측하게 되었다. 때문에 이를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네 명창의 활동 시기에 따라) 적벽부의 사설 및 선율구조의 내용을 살펴보고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적벽부는 곡 길이의 축소 이외에도 악곡 선율의 변용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적벽부를 비롯한 단가는 판소리를 본격적으로 부르기 전의 목 풀기 음악이라는 용도로 탄생 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오늘날은 단가의 쓰임이 매우 다양해지고 풍부하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단가에 대한 연구도 더불어 다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직 초석의 일부일 본 연구에 이어 계속적으로 심도 있고 보다 다양한 단가 연구들이 시행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4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4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