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4 0

2차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민간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연구

Title
2차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민간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연구
Other Titles
Second Assessment certification process involved in the recognition of private day care director and teacher research
Author
윤형자
Alternative Author(s)
YUN HYEONGJA
Advisor(s)
이정숙, 고인숙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변화된 2차 평가인증에 대한 민간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1차 및 2차 평가인증에서 겪은 어려움과 차이점, 평가인증에 대한 만족도, 개선 및 요구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평가인증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2차 평가인증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1차 및 2차 평가인증 참여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넷째,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평가인증에 대한 개선 및 요구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중 2010년부터 시행된 어린이집 2차 평가인증과정에 참여한 원장 41명과 보육교사 262명으로 총 303명의 민간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전반적인 구성은 한국보육진흥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인증 지침서의 내용을 토대로 하였으며, 장태옥(2012), 김동례(2007), 오민수(2007), 이정숙(2010) 등이 사용한 문항들을 참고하여 총6개영역, 26개 문항으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7.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평가인증인식에 대해서는, 2차 평가인증의 운영체계 변화에 대해 대체로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현장관찰일 공지조정’은 원장 교사 모두 바람직하지 않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 우수사례에 관해서는, 어린이집 우수사례기준에 해당되기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놀이시설 설치검사’, ‘옥외놀이터 설치’, ‘1급교사 비율’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우수사례에 대한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항목으로는 ‘옥외놀이터 설치’ 와 ‘건강주치의제’, ‘놀이시설 설치검사’ 의순으로 원장과 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2차 평가인증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2차 평가인증 참여 후 대체로 만족하는 걸로 나타났으며, 2차 평가인증을 통해 만족한 점으로 원장은 ‘운영관리의 체계화’ 교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 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2차 평가인증을 통해 불만족한 점으로 ‘평가과정에서 업무과중으로 인한 영유아 보육 소홀’ 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2차 평가인증 참여로 가장 유익한 대상으로 원장은, ‘유아’ 라고 인식한 반면, 교사는 ‘모두’라고 인식하여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2차 평가인증 과정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변화된 점은 ‘보육일지 작성에 대한 교사 전문성 향상’ 과 ‘어린이집 보육환경 및 시설개선’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평가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에 관해서는, 1차 및 2차 평가인증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 원장과 교사 모두 ‘과다업무로 잦은 초과근무’ 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되었다. 넷째, 평가인증에 대한 개선 및 요구 면에서 우선 현행평가주기에서 원장은 현행평가주기가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반면, 교사는 적절하다고 응답하여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원장과 교사 모두 5년을 적절한 주기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현행주기가 적절하지 않은 이유로는 원장과 교사 모두 ‘평가인증을 포함한 다수의 많은 평가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인증과정에서 받았던 조력에 관해서는, 대부분 조력의 양은 충분하지 못했지만, 질적으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인증에서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원장은 ‘환경보수, 교재교구 구입비’ 등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사의 경우는 ‘업무보조 인력 지원’ 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요구하여, 원장과 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평가인증 과정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빠르고 명확한 평가기준 안내’를 공통으로 요구하였고, 평가인증 활용 방안에 대한 원장의 인식은 ‘평가 후 우수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이라고 응답한 반면, 교사는 ‘평가 후 우수 어린이집에 대한 인센티브제공’ 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변화된 2차 평가인증의 운영체계 및 지표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으로 추진될 제3차 평가인증 과정의 기본 정보로 활용하고자하며, 더 나아가서 보육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8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1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