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0

DEA를 활용한 지사 성과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Title
DEA를 활용한 지사 성과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Branches of firms using DEA Model
Author
차성엽
Alternative Author(s)
Cha, Sung Yeop
Advisor(s)
백동현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기업의 해외진출이 늘어남에 따라서, 투자 결과인 성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사에서 어떤 지표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할 것인가는 선택된 성과 평가 항목이 무엇이냐에 따라 향후 조직에 대한 보상 및 추후 전략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현재 해외법인과 지사가 성과 평가 항목을 선택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성과관리 평가 방법은 기존의 재무적인 지표를 중심으로 이용하는 목표관리법 (MBO: Management by Objective)와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card)를 이용하여 기업의 핵심 성과 지표를 도출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성과평가에 이용되고 있는 모델들은 기업 성과평가 모델은 기관의 규모, 기능, 성격 등을 고려하여 하고 있지 않다. 해외지사는 본사와 같은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해외 법인과는 달리 지사는 법인이 진출하기 어려운 지역에 먼저 진출하여 일부 기능을 가지고 시장을 개척하기 때문에 마케팅이나 영업 등의 일부 기능만을 가지고 있고, 지사는 성과의 책임이 본사에 있기 때문에 본사의 경영 지침에 따라 운영되기 된다. 또한 지사의 경우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상호간의 비교를 통하여 성과관리 및 성과 달성 수준을 파악하고, 우수 지사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하여 지사의 성과를 개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성과평가 방법론과 다른 방법을 통하여 지사의 성과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사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DEA : Data Envelope Analysis)과 네트워크 분석방법(ANP : Analytic Network Process)을 활용하여 방법론을 구성하였다. 먼저 네트워크 분석 과정을 활용하여 가중치 값을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사의 활동과 산출의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사 사업 투입자원의 규모 대비 지사의 사업 산출량을 나타내는 활동효율성과 지사에서 사전 설정된 성과목표를 달성하는 정도인 산출효율성이 높은 지사를 판별해 내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하는 지사 DEA-2Stage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 방법론을 공기업A에 적용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사 DEA-2Stage 방법론은 지사사업의 성과의 측정뿐 아니라 각 지사가 위치해 있는 매트릭스의 위치에 따라 사업전략(Business Strategy)을 실시할 것인가 기능전략(Functional Strategy)을 실시할 것에 대한 가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 과정을 통하여 나온 결과 값은 지사에서 종사하는 현직자와 전문가가 쌍대비교를 통해 나온 가중치이므로 추후 지사 전략을 제안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자료포락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지사는 어떤 지사를 벤치마킹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38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2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NAGEMENT CONSULTING(경영컨설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