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 0

한옥 게스트하우스에서 나타난 한국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Title
한옥 게스트하우스에서 나타난 한국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Author
박지혜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한류열풍으로 동양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관광객들은 한국에 여행 와서 다른 나라와는 차별화 되는 독특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숙박공간과 문화체험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한옥 게스트하우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문화가 하나의 산업이 되는 흐름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들이나 내국인들을 위한 한국적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발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분석의 틀로 한국적 특성이 나타난 게스트하우스를 찾아 한국적 감성디자인요소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실내건축에 반영된 사례들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공간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감성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옥 게스트하우스의 활성화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이용목적 및 문제점을 홈페이지와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한옥 게스트하우스에서 나타나는 감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내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감성디자인요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하지만 한옥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감성표현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적 공간요소 키워드 15개를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하여 실내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감성디자인 요소에 맞게 재해석하여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옥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국내의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의 ‘2012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의 자료에 근거하여 서울, 경주, 전주, 제주도를 대상으로 한옥을 개조하거나 전통요소가 나타나는 한옥 게스트하우스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본 연구방법은 한국적 감성디자인요소를 새롭게 규명하고 네 지역의 한옥 게스트하우스 사례를 선정하여 감성디자인요소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국내 한옥게스트하우스의 한국적 감성디자인요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감성디자인 요소에 따른 지역별 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상징과 해학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지역별로 총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서울, 전주, 경주, 제주도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은 리모델링을 통해 한옥의 곡선을 되살리고 전통가구 및 장식등을 통해 한국적 감성을 잘 나타내 오감의 체험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주지역의 경우, 기존 양반의 가옥을 재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점진적인 변화로 공간의 계층적 질서가 나타나 프라이버시 점이성과 개방성과 폐쇄성을 통해 장면성과 연속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주의 경우 아직은 한옥 게스트하우스의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았지만 유교사상을 통한 금욕주의의로 사용자인원에 맞는 공간표현이 두드러져 인간 중심성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 또한 지역성이 표현된 전통가옥을 이용한 게스트하우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한국적 감성디자인요소가 배제된 현대적 디자인의 공간이 표현된 게스트하우스가 많았다. 둘째, 한옥의 공간구조는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크게 ‘ㅁ’자 구조, ‘ㄷ’자 구조, ‘ㅡ’ 및 ‘ㄱ’자 구조로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한국적 감성디자인요소를 통한 결과는 ‘ㅁ’자 구조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ㅡ’ 및‘ㄱ’자 구조, ‘ㄷ’자 구조 순으로 나타났다. ‘ㅁ’자 구조는 중정형 마당을 통해 각 공간에서 접근성이 좋고 동선이 짧으며 전통공간구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공간구조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ㅡ’ 및‘ㄱ’자 구조의 경우 도시형한옥으로 리모델링 되면서 단열을 위해 마당을 향한 긴 단면이 유리창으로 되어 마당으로의 장면성이 연속되고 자연의 유입이 자유로우며 일렬로 배치된 객실간의 가변성을 통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ㄷ’자 구조의 경우 ‘ㅁ’자 구조와 ‘ㅡ’자 구조의 중간 형태로 모든 특성이 나타나지만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다른 구조에 비해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셋째, 입구, 카페, 커뮤니티, 객실, 주방 총 5개의 공간 중 입구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옥 게스트하우스는 기존의 한옥을 재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관의 전통양식과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보존하고 있어 자연적 요소가 포함된 상징과 해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객실의 경우 기존의 가옥을 그대로 작은 크기의 공간이지만 한국적 공간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이므로 인간 중심성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커뮤니티 공간과 카페공간의 경우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동선이 짧고 접근성이 좋은 마당이나 입구 쪽에 공간을 계획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대부분 이였기 때문에 자연과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나타냈다. 주방 공간은 현대식 시설이 배치되어 전통성이 배제된 사례가 대부분이였기 때문에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사례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한옥 게스트하우스이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예전 지역별 기후에 따라 분류된 한옥의 공간구조는 현재의 기후변화와 도시형한옥으로 변화함에 따라 공간구조의 분류가 모호해지며 어느 지역을 가도 다양한 구조의 한옥을 경험해 볼 수 있다. 이제는 지역별뿐만이 아닌 한옥의 구조에 따라 맞는 한국적 감성요소가 나타나는 공간의 계획이 필요하다. ‘ㅁ’자 구조는 마당공간의 활용을 통한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마당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공간이나 카페공간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였기 때문에 공간별 비교분석을 보았을 때, 두 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자연과 조화, 소박미, 자연미가 포함된 상징과 해학요소를 발전 시켜 한국적 감성이 나타나는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계획되리라 사료된다. ‘ㄷ’자 구조의 경우, 다른 구조에 비해 낮은 점수가 나타났지만 입구공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다른 구조에 비해 입구공간의 면적이 넓고 활용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점진적인 변화로 공간을 구성하고 내부와 외부의 공간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하여 개방성과 폐쇄성의 요소를 높여 입구공간을 강조하고 깊이 감을 주어 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ㅡ’ 및‘ㄱ’자 구조는 복도형태의 공간이 자연스럽게 생기고 공간의 활용을 위한 가변성이 나타나 객실공간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공간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객실공간에서 관계성과 가변성, 비움과 채움이 포함된 탈 스케일 요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구조의 객실에서는 탈 스케일 요소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ㅡ’ 및‘ㄱ’자 구조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의 구조의 변화가 가능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변적인 객실공간을 활성화 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만의 한국성을 지키고 나타낼 수 있는 한옥 게스트하우스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3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4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