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 0

마케팅 특성 별 패스트푸드전문점의 공간디자인 분석

Title
마케팅 특성 별 패스트푸드전문점의 공간디자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Spatial Design of Fast Food Restaurants by Marketing Characteristics
Author
김연영
Alternative Author(s)
Kim, Yeun Young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브랜드의 특성 및 소비자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공간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어 다양한 공간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기업 및 브랜드는 마케팅 전략으로 부터 공간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계획함으로서 공간디자인에 대한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패스트푸드전문점은 과거의 건강에 좋지 않은 이미지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인식으로 공간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소비자 중심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특성에 따른 패스트푸드전문점의 공간디자인을 대학가 상권과 오피스 상권의 중심으로 분석하여 패스트푸드전문점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마케팅 특성 요인을 도출하여 공간에 적용하였을 때를 고려하여 조사도구로 체크리스트롤 작성하였다. 2010 이후에 오픈 및 리모델링한 조사대상지로 총 20곳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9월 21일부터 10월 30일 까지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마케팅 특성을 브랜드 아이덴티티, 장소성, 상호관계성, 친환경성, 감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체크리스트를 종합한 전체적인 반영률을 분석한 결과, 마케팅 특성별의 반영률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친환경성>상호관계성>감성 요인>장소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특성을 살펴보면, 대학가 상권에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두 상권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들의 사실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 등의 다양한 표현으로 브랜드 연상 작용을 유도하였으며 획일화된 방식에서 벗어난 표현들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장소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대학가 상권에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두 상권은 대부분 상권 및 소비자의 욕구를 고려한 공간 구성으로 계획되어 지고 있었다. 하지만 항목 중 지역의 고유성에 대한 반영은 낮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고려하여 공간에 반영된다면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호관계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오피스 상권에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두 상권은 전체적으로 서비스 카운터의 위치 및 적절한 통로 공간의 유지로 공간과의 관계가 양호한 편이였고 보조 출입구의 형성에 대한 항목은 다소 미흡한 경향으로 소비자의 편의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관계를 이어가야 된다. 친환경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오피스 상권에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두 상권은 자연 채광의 유입으로 외부와의 조화와 목재 소재의 마감재 등을 활용해 자연과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긍정적인 이미지의 인식으로 변화하기 위해 조화 및 생화를 활용한 환경 조성으로 공간에 반영되어야 한다. 감성 요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대학가 상권에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두 상권은 과거의 공간디자인 요소들의 적용과는 달리 다양한 색채들의 조화 및 조명 활용 등으로 시각적 자극을 주었다.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 시킬 수 있는 빠른 회전율의 분위기에서 사회의 변화와 소비자에 맞춘 분위기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가 상권과 오피스 상권 중심의 사례연구를 통해 마케팅 특성 별 패스트푸드전문점의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공간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 연구 및 면접을 통한 세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3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7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