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0

저항 변화 메모리 적용을 위한 산화물간 산소 공공의 이동에 따른 전류 이력 현상에 관한 연구

Title
저항 변화 메모리 적용을 위한 산화물간 산소 공공의 이동에 따른 전류 이력 현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urrent hysteresis by oxygen vacancy migration between oxides for resistive switching applications
Author
권현민
Alternative Author(s)
Hyeon-Min, Kwon
Advisor(s)
최덕균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저항 변화 메모리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ReRAM) 는 낮은 전력 소모, 빠른 스위칭 속도, MIM (metal-insulator-metal) 구조로써 높은 직접도 및 간단한 구조로 인해 공정 상의 결함을 줄일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메모리 후보 중에 가장 각광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저항 변화 메카니즘이 명확하지 않아 특성 향상 및 상용화를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bipolar ReRAM 특성을 보이는 TaOx를 응용한 소자에 sneak current path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self-rectifying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a-IGZO층을 첨가함으로써 Pt/a-IGZO/TaOx/Al2O3/W 구조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 평가를 하였다. 또한, 저항 변화 특성을 발현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예비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여 궁극적으로 switching model을 제시하였다. Pt/a-IGZO/TaOx/Al2O3/W 구조를 가지는 ReRAM은 일반적인 ReRAM 특성 이외에도 저항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forming process가 필요하지 않은 forming-free, crossbar array에 적용하였을 때, 대칭적인 I-V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misreading 현상을 막아주는 self-rectifying 등과 같은 유용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self-rectifying 특성은 일반적인 self-rectifying 특성을 나타내는 ReRAM과 달리 산화물과 산화물 접합에 의해 일어난다. 이러한 특성들은 보이는 Pt/a-IGZO/TaOx/Al2O3/W 구조를 가지는 ReRAM의 switching mechanism을 밝히기 위해 각 층을 분리하여 하나의 oxide층만으로 MIM구조를 가지는 소자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평가를 하였고, a-IGZO와 TaOx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을 AES, XPS방법을 이용하여 심도있는 분석을 하였다. 또한 SiNx와 산소 열처리를 통하여 극단적인 실험을 진행함으로 resistive switching에 대한 a-IGZO와 TaOx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소자에서의 resistive switching은 a-IGZO 와 TaOx의 두 산화물간의 산소 공공 exchange에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positively charged oxygen vacancy가 이동함으로써 a-IGZO와 TaOx간의 oxygen vacancy exchange가 일어나 그에 따른 TaOx층의 저항이 변화하여 resistive switching이 나타나게 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1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신소재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