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3 0

메타분석을 통한 무용이 노인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itle
메타분석을 통한 무용이 노인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Author
한지영
Advisor(s)
오율자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신건강 하위변인들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결과로 보고한 국내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연구결과의 통계치를 통해 효과크기를 확인함으로서 어떠한 무용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이었는지 비교, 종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정신관련 변인에 대해 무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노인’과 '무용'을 주요어(Key word)로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술정보원(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등의 데이터베이스에서 1990년부터 2013년 5월까지 발행된 학회지 게재 논문 및 석․박사 논문 등을 인터넷과 도서관 등을 통해 자료 검색 및 수집되었다. 수집된 논문은 국내 석박사 논문과 학술지 등을 포함하여 총 135편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에서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변인을 다룬 논문 총 14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개별연구들로부터 연구대상자들의 나이와 성별, 무용 프로그램의 처치기간, 무용 프로그램의 동작내용, 종속변인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통계자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자료는 효과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평균 효과크기의 동질성은 Cohen의 Q통계로 검증하였다. 동질성 검정 결과 노인의 정신건강관련 변인의 효과크기가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램덤효과 모형(random-effects model)을 사용하여 효과크기 분포의 평균(The mean of distribution of effect size)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무선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정신건강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를 측정하고, 정신관련 변인들을 몇 개의 범주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용 프로그램의 처치 기간별 효과크기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선정된 14편의 논문에서 다룬 노인의 정신건강 변인군들은 강박증, 공포불안, 기억 수행, 대인예민성, 무력감, 불안, 상태불안,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외로움, 우울, 인지기능, 적대감, 정신증, 즉각회상, 자연회상, 특성불안, 편집증으로 확인되었다. 메타분석 동질성검증결과 각 연구별 변인별 효과크기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무선효과모형을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와 논의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변인에 대해 무선효과모형으로 측정된 전체적인 평균효과크기는 0.98로 나타났다. 이는 Cohen(1988)의 기준에 의해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정신건강관련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ES) 중 우울(ES=-1.45), 스트레스(ES=-1.33), 생활만족도(ES=1.28), 편집증(ES=-1.08), 적대감(ES=-0.94), 강박증(ES=-0.90), 대인예민성(ES=-0.87), 불안(ES=-0.85)변인에서는 효과가 매우 컸다. 반면 정신증(ES=00.63)변인은 중간정도의 효과가, 인지기능(ES=0.31)변인에서는 작은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무용프로그램의 기간별 평균 효과크기는 12주 초과(ES=2.51), 12주(ES=0.80), 12주 미만(ES=0.86)으로 나타났으며, 무용프로그램이 12주를 초과해서 실시할 때 효과크기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종합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정신건강관련 변인들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15주 이상의 기간을 두고 실행한다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신건강관련 하위변인들 중에서도 특히 우울증 변인에서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고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도 매우 큰 효과가 있었지만 인지기능에서는 효과를 보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무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종합적 결론과 함께 구체적인 효과의 크기를 요약 제시하여 국내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무용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지도자들에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1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7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DANCE & WELL-BEING(생활무용예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