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3 0

일반노인의 치매관심도와 치매지식 정도

Title
일반노인의 치매관심도와 치매지식 정도
Author
이지영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1%를 넘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이행되면서 퇴행성 치매 인구 또한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윤보라 외, 2012). 우리나라 노인들은 치매에 대해서 매우 관심이 있으며 치매를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고 가족에게도 무거운 부담감과 피해를 주는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치매의 조기 발견 및 치매예방 대책이 성공적인 노화 적응을 돕기 위한 노인 복지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에 대한 관심도와 치매 지식 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치매 관련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시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92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15일부터 7월 19일까지 치매에 대한 관심도와 치매 지식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에서 남자가 44.3%이고 여자가 55.7%를 차지하였고, 70-79세가 63.5%, 80세 이상이 13.5%로 평균 연령 73.19세였다. 학력은 초졸 이하가 27.6%, 중졸22.9%, 고졸 29.7%, 대졸이상 19.8%로 고졸이 가장 많았다. 월수입에서는 50만원 이하가 전체 50.0%를 차지하였다. 또한 치매에 대한 정보 경로로는 대중매체가 48.2%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가를 통한 경로는 9.6%였다. 치매예방 프로그램 참여 경로로는 지역 보건소와 노인 복지관이 36.5%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치매 관심도는 치매에 대해 ‘매우 관심있다 '29.2% ‘관심 있다’ 38.0%로 과반 수 이상이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예방과 조기검진의 관심에서는 ‘관심 없다’ 2.1%를 제외한 97.9%에서 높은 관심도를 보인 반면,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는 59.9%가 ‘참여한 적 없다’고 답하여 높은 관심도에 비해 교육 참여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치매 지식은 점수 범위(0~15점)에서 평균 8.24±2.54점으로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 와 ‘일찍 치료를 시작하면 치매 진행을 늦출 수 있다’ 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술을 많이 마시면 치매에 걸릴 수 있다’ 와 ‘치매는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가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 지식은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치매 지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치매 관심도와 치매 지식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3)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상자들은 치매예방과 조기검진에 대한 높은 관심도에 비해 치매예방 관련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경로로 많이 나타난 지역 가까운 보건소 및 노인 복지관 등에 치매 교육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 배치함으로써 치매 예방을 위한 조기검진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0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0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