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0

다계통 위축증(MSA) 흰쥐 모델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변화에 대한 에리스로포이에틴(EPO)의 효과

Title
다계통 위축증(MSA) 흰쥐 모델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변화에 대한 에리스로포이에틴(EPO)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erythropoietin(EPO) on alteration of dopamine neurons and microglia in a rat model multiple system atrophy
Author
김성훈
Advisor(s)
황세진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은 파킨슨 증상의 특징, 자율신경계의 기능장애, 소뇌성 운동 실조증과 추체로 징후가 동반되는 중추신경계의 퇴행성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계통 위축증 흰쥐 모델에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 투여를 통한 신경방어효과를 행동학적 변화 및 도파민 신경세포(dopamine neuron)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을 Sham 대조군과 MSA군, MSA+EPO군(EPO군)으로 분류했다. MSA 흰쥐 모델은 내측전뇌다발과 선조체에 각각 6-OHDA (6-Hydroxydopamine hydrobromide)와 QA(Quinolinic acid)를 투여하여 유발하였다. 약물 투여 3주 후 apomorpine 유발 회전실험을 실시하여 시간당 회전수가 300회 이상 동측으로 회전한 동물을 MSA 동물모델로 간주하였다. MSA모델 중에서 MSA군과 EPO군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EPO군에 3일 간격으로 EPO (0.125 mg/100 g, i.p.)를 투여 하였으며 하위군으로 1주차군 (2회 투여군)과 2주차군 (4회 투여군)으로 세분하였다. MSA군과 Sham군은 복강 내 투여로 생리식염수 (0.125 ml/100 g, i.p.)를 3일 간격으로 2회와 4회 투여하였고, MSA군과 EPO군의 1주차 군과 2차군은 EPO와 생리식염수 투여 마지막 날 apomorpine 유발 회전실험을 실시하여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다음 날 관류고정으로 희생시켰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TH, Iba-1, α-synuclein을 이용하여 흑색질에서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Apomorpine 유발 회전실험 결과 MSA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전수가 증가했지만 EPO군은 회전수가 감소하였다. 면역조직화학 결과 점진적으로 MSA군은 TH-양성 도파민 신경세포가 감소하였고 1주차군 보다 2주차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EPO군 에서는 1주차 군과 2주차 군 비교 시 도파민 신경세포가 감소하지 않았다. α-synuclein 항체 면역반응 결과 MSA군에서 α-synuclein이 증가 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EPO군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MSA군에서 Iba-1-양성 미세아교세포가 증가하였고, EPO투여 군에서는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MSA 흰쥐 모델에서 EPO의 투여는 행동학적 변화의 완화,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 및 미세아교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신경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9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