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 0

조선시대 예제건축의 공간구성에 따른 문(門) 형식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예제건축의 공간구성에 따른 문(門) 형식에 관한 연구
Author
이동범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가적 의례(儀禮)는 국가가 지향하는 이념과 도덕적 가치를 구체화한 것이다. 조선시대 최초로 공식화 된 의례서 『국조오례의』를 살피면 국가의례의 대상을 천신(天神), 지기(地祇), 인귀(人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각에 대한 의례 명칭 또한 천신에 대한 제사는 사(祀), 지기에 대한 제사는 제(祭), 인귀에 대한 제사는 향(享)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이들 의례는 치제대상의 중요도와 성격에 따라 다시 대사(大祀), 중사(中祀), 소사(小祀), 기고제(祈告祭), 주현제(州縣祭), 속제(俗祭)로 구분한다. 이후 대한제국 시기에 이르기까지『국조오례의』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국가의례서의 정비를 통해 예의 실천 기준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렇듯 구분된 국가적 의례의 설행을 위해 형상화된 공간을 ‘예제건축’이라 지칭하며, 이러한 의례공간들이 주로 단(壇)과 묘(廟)의 형태로 출현하므로 ‘단묘건축’이라고도 불린다. 대사, 중사, 소사로 구분된 의례는 예제설행에서 뿐 아니라 여러 건축적 장치를 통해 공간의 위계 설정, 단의 규격 등에 있어 건축적 질서에서도 위차를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제건축 중 건축적 실체로서 현존하는 대사의례 중 사직과 종묘, 중사의례 중 문묘와 선농단과 현존하지는 않으나 비교적 기록이 남아 있는 소사 예제 중 영성단과 계성사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조영함에 있어 존재하였을 구성적 체계의 일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건축요소 중 정문 및 중문 등 각기 권역 내에 시설된 문의 건축적 특징에 주목하였다. 문은 내외부의 공간적 구분이나 혹은 이와는 무관한 목적 즉, 당해 건축군의 표지성을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작용하거나 주변 요소들과 만나 보다 함축적인 의미를 내포하며 공간에 표현되는 건축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은 막힘없이 열려있다 해서 제한 없이 출입이 허용되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출입요건이 갖추어진 상황에서의 열림이다. 반대로 문을 닫았다고 해서 모든 출입이 불허된 것 또한 아니다. 상징하는바 설정된 권능을 가진 이들은 언제든 출입이 가능하다. 예제건축에 있어서의 문이 이러하며 설정된 이들을 받아들이는 행례의 시작과 끝이 모두 문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조선시대 영건된 예제건축의 각 공간별 문, 문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문 및 중문 등에는 대․중․소사의 구분과 단, 묘라는 건축적 형제에 따라 존경, 신성, 벽사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홍살문’과 홍살을 응용한 ‘홍살널문’형 문비가 구분․설치되어 있었다. 일반적 개념의 ‘홍살문’은 단제 건축군에 주로 설치되었고, 그 홍살문이 뚜렷한 경계처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건축물로서의 문 시설에 ‘홍살널문’의 문비형태로 변형되어 주로 대사예제의 정문과 중문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홍살널문’이라는 문비 형식은 건축 분류 상 예제건축에 전용된 문비 형식임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예제건축의 문에 공통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태극무늬는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는 요소로서 일정한 규칙 아래 설정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단제 건축에서는 이태극 무늬, 묘제 건축에서는 삼태극 무늬가 주된 설정이었다. 이는 예제건축이 유교적 이념의 상징처인지 혹은 정황에 따라 개인적 성향이 반영되어지는 곳인지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로 인귀 대상의 예제인 묘제 건축에서는 인간중심의 삼태극사상과 결부되어 문 장식에 삼태극이 설정되는 반면 천지순환 체계의 사상인 이태극은 단제 건축에 주로 설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예제건축의 각기 공간을 구획하는 문들은 단순히 출입처의 역할 뿐 아니라 건축군의 성격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6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5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