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8 0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교 전통미술 지도방안 연구

Title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교 전통미술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Traditional art for high school utilizing collage technique
Author
박지연
Alternative Author(s)
Park, Ji Yeon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미술은 과거에서부터 공동체로 이어져오는 자신의 감정, 정신 등을 시각적 매체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과거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것으로 문화 창조 발전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통 미술 안에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특성이 있으며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 오늘날은 하루가 다르게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하고 다양한 일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수많은 영상매체, 디자인, 광고 등의 시각 물들을 접하면서 생활하고 있다. 때문에 현대의 미술은 미술재료와 표현매체, 기법 등이 제한된 것이 아닌 무한히 확장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우리의 전통미술도 변화를 시도하여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더 이상 전통재료에 국한된 것이 아닌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는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바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통미술 교육을 통한 인식의 재정립과 함께 제한된 내용을 벗어나 현 시대에 맞는 방법을 연구하여 시대의 흐름에 맞는 전통미술 수업이 필요하다고 느껴지는 바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콜라주기법을 활용하여 여러 소재의 전통미술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는 전통미술 수업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본 논문의 수업지도방안에서 현대 미술에 들어오면서 하나의 획기적인 사건을 탄생시키게 되는 콜라주 기법을 전통미술 표현에 활용하기로 하였다. 전통적 방법인 2차원의 평면방식에서 벗어나 3차원의 구성방식을 가져올 수 있는 콜라주를 활용하면 새롭고 개성적이면서 독창적인 현대적 작품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이론적 탐구와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미술의 대표적 소재인 산수화, 풍속화, 민화를 선정하고 콜라주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제재를 선정하고 수업지도방안을 계획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콜라주기법을 활용한 전통미술 수업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 이상 전통미술 수업이 어려운 실기 수업시간이 아닌 쉽게 접근 가능한 표현수업이 될 것이다. 기존 전통미술 수업에 이루어졌던 옛 작품을 모방해보는 식의 답습 형태의 수업이 아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생의 흥미를 존중하고 현대미술의 경향에 발맞추는 형태의 수업이 될 것이다. 이로 인해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수업에 참여하여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전통미술 표현에 있어 동양회화와 서양회화의 양분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현대의 작품과 같이 더 이상 문방사우 사용의 재료의 국한이 되어 제작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매체의 선택과 활용으로 인해 더 이상 옛날 그림, 옛것이 아닌 현대에 맞는 새로운 미술로 느껴질 것이다. 때문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기에 재창조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의미 있는 수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다양한 재료와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표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적 감각과 미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평면적인 전통미술에 다양한 재료 등을 활용하여 작품에 도입하면 3차원적인 입체 회화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활동으로 구성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콜라주 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사진, 인쇄매체, 물체 등의 다양한 매체를 작품 속에 직접 도입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작품을 구성할 수 있고 개성적이며 독특하게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지도방안이 학교 교육에서 실제 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나아가 제한되어있다고 느껴졌던 전통 미술의 수업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5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6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