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0

비만 치료에 따른 지방세포의 Hormone Sensitive Lipase의 활성 변화

Title
비만 치료에 따른 지방세포의 Hormone Sensitive Lipase의 활성 변화
Other Titles
In vivo Recovery of Adipocyte Hormone Sensitive Lipase Activity by the treatment of obesity
Author
김지영
Alternative Author(s)
Kim, Ji Young
Advisor(s)
김효준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비만은 단순히 비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지방간염 등 다양한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이며, 전 세계적으로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방 세포 내에 존재하는 중성지방은 일련의 지방분해 과정을 거치면서 한 개의 글리세롤과 세 개의 지방산 분자들로 분해된다. 비만은 이 분해 과정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중성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저밀도 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은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주요 운반 형태이며, 이 저밀도지단백질이 지방세포의 수용체(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 LDLR)에 결합하여 지방 세포 내에 과다 축적되면 Hormone sensitive lipase(HSL)의 활성을 억제시켜 HSL에 의해 조절되는 지방 분해능이 저하된다. HSL이 억제되어 정상적으로 지방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체내의 간과 같은 다른 기관에서 지방산을 생합성하게 되고, 결국 간에서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의 합성이 증가하게 된다. 증가된 VLDL은 LDL이 되는데, 이 LDL이 다시 축적되는 악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지방분해과정은 비만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 되어지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비만이 유도됨에 따라 생체 방어작용의 일환으로, 혈중 ApoB-100(ApolipoproteinB-100)에 대한 자가항체가 유도 생산되고, 저밀도지단백질의 지방 축적 기능을 차단하여 체중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모델인 C57BL/6 mouse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였고, 그 후 ApoB-100의 mimetic peptide 인공항원인 SJP3와 B4T를 주사하여 자가항체의 생산을 유도하여 HSL의 활성의 회복을 시키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C57BL/6 mouse를 정상대조군을 비롯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유도군과 백신접종 군으로 나누어 각 먹이의 양을 균등하게 주었고 매주 mouse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 면역 접종 후 2주 간격으로 총 3번의 boosting을 진행하였고 면역접종 후 1주일 간격으로 mouse에서 serum을 얻어 antibody titer를 측정하였다. ApoB-100에 대한 자가항체의 유도 생성은 ApoB-100을 항원으로 사용한 Indirect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면역반응이 증강될수록 인공항원을 주사한 group은 비만유도군보다 무게의 증가 폭이 적음을 보였다. 그 후, C57BL/6 mouse의 부고환지방패드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여, HSL의 활성을 유도하기 위해, norepinephrine(10-5M)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HSL의 활성 측정은 중성지방이 분해되어 유리된 글리세롤의 농도 측정과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을 활용하여 세포가 갖는 부피(크기)를 비교하였다. SJP3을 처리한 HSL의 지방 분해능은 비만유도군의 지방 분해능보다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SJPOV (SJP3, B4T)를 비만인 mouse에 접종하게 되면 LDL에 의해 억제된 HSL을 다시 활성화시켜 지방분해능력의 회복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35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2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OLECULAR & LIFE SCIENCE(분자생명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