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6 0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관련 지식, 가족지지 및 자기효능감 -초발 및 재발 환자의 비교-

Title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관련 지식, 가족지지 및 자기효능감 -초발 및 재발 환자의 비교-
Author
김영선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초발 환자와 재발 환자의 뇌졸중 관련 지식,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분석 연구이며 뇌졸중의 재발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허혈성 뇌졸중 초발 환자 71명 재발 환자 59명 총 130명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는 뇌졸중 관련 지식은 함미영(2001)이 개발한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측정 도구를 강선미(2005)가 수정 및 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족지지는 강현숙(1984)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가족지지행위 측정도구를 강선미(2005)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박혜경(2003)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참고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초발 대상자가 62.7±12.9세, 재발 대상자가 72.1±10.3세이며 성별은 남성이 초발 환자 67.6%, 재발 환자 54.2%로 많았고, 교육정도는 초발 환자는 고졸 이상이 45.1% 재발 환자는 중졸 이하가 49.2%로 가장 많았다. 초발환자의 78.9%, 재발 환자의 76.3%가 대부분 기혼인 것으로 나타났고, 퇴원 후 돌봄 제공자는 초발 환자 59.2%, 재발 환자 40.7%가 가족이라고 하였다. 2. 동반질환으로는 고혈압이 초발 환자의 59.2%, 재발 환자의 79.7%에서 나타났고, 당뇨는 초발 환자의 33.4%, 재발 환자의 57.6%에서 나타났다. 생활 습관을 살펴보면 운동 여부는 ‘전혀 하고 있지 않다’가 초발 환자 64.8%, 재발 환자 59.3%로 높게 나타났다. 3. 초발 환자와 재발 환자의 초기 증상은 초발 환자에서는 ‘팔, 다리 저린감’이 28.2%, 재발 환자는 ‘말 어눌함’이 4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증상은 초발 환자 ‘팔, 다리 저린감’이 22.5%, 재발 환자 ‘말 어눌함’이 2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뇌졸중 관련 지식은 초발 환자 8.85±3.21점, 재발 환자는 83.8±0.72점으로 초발 환자와 재발 환자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지식은 초발 환자 2.85±1.52점, 재발 환자 2.98±2.04점으로 초발 환자와 재발 환자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가족지지는 초발 환자 43.01±7.37점, 재발 환자는 40.32±6.52점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자기효능감은 초발 환자39.85±6.24점, 재발 환자 36.37±6.24점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가족지지와 재발유무로 뇌졸중 환자에서 18%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환자의 뇌졸중관련 지식 및 위험인자에 대한 지식이 초발 및 재발 환자 모두에서 낮게 측정되었고 지식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관련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발 및 재발 환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와 재발유무로 나타났다. 뇌졸중이 재발율이 높은 질환임을 고려하여 초발 및 재발 환자의 대상자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8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7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