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 0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 및 사회적관계망과의 영향관계 연구

Title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 및 사회적관계망과의 영향관계 연구
Author
김아름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주거지 재생사업이 과거에는 대부분 전면철거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커뮤니티와 지역의 장소성 파괴 등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거지 재생사업지역의 대부분은 단독·다가구가 밀집된 기성시가지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고령거주자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에 있어 고령거주자를 고려한 계획수립과 사업과정 중의 참여는 사업이 목표와 취지를 이루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거지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전체를 평가하거나 커뮤니티 활성화,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고령거주자 관점에서 사업을 평가하는 연구는 미흡한 현실이다. 고령자의 경우, 오랫동안 거주했던 지역에서 노년기를 보내기 원하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이 반영된 고령화 정책패러다임 역시 변화되고 있다. 과거에 복지시설 중심에서 고령친화적인 지역 환경 조성 중심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friendly community)로 개념이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마을단위의 주거지 정비 사업이 고령거주자의 비율이 높은 기성시가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들이 오랫동안 거주했던 지역에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고령친화적인 지역사회환경(aging-friendly community)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도시와 지역계획 측면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근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루어짐에 주목하고 노인의 근린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하는 것이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먼저,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고령거주자 비율이 높은 기성시가지 주거지 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정비 사업 요소 중에서 노인의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정비 사업 요소 와 노인의 근린활동과 사회적 관계망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총 5단계이다. 1단계는 대상지 선정 단계로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이 시행되어 1차 완료된 4가지 유형의 사례지 중에서 향후 지속적인 시행가능성이 높은 유형으로 정책의 기초자료로서 연구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유형을 선정한다. 2단계는 변수선정 단계로 독립변수의 도출과정은 선행연구와 문헌조사, 현장조사를 거쳐 최종 측정변수를 도출하였고, 종속변수는 문헌조사를 거쳐 1차적으로 변수를 도출하고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쳐 노인의 근린활동과 사회적관계망에 대한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3단계는 인구통계학적 현황 및 주민인식 분석 단계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주민인식과 두 지역 간의 인식차이 검증을 진행한다. 4단계는 변수간의 영향관계 분석 단계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상관성을 검증하고, PLS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모형설명력을 검증하고 설명변수의 회귀계수 추정 및 중요도(VIP)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5단계는 지역 간 영향관계 분석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정성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공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고령거주자의 사업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는 물리적인 정비부문에서는 교통 및 보행환경 개선과 경관개선 부문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었다. 비물리적인 정비부문에서는 경제기반 및 전문가 지원과 공동체 활성화 지원(커뮤니티 센터 운영) 부문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었다. 다음으로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물리적인 요소 중에서는 교통 및 보행환경 개선과 경관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비물리적인 정비 중에서는 주택개량 및 관리지원과 경제기반 및 전문가지원 등의 부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앞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주거지 재생에 있어 비물리적인 정비에 대한 부문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고령거주자 관점에서 경제적 기반 마련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리적인 부문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성이 높은 보행과 시각적인 정비요소가 고령거주자 관점에서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편적인 물리적 재생이 아닌 사회・문화적인 측면과 지역경제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주거지 재생사업을 대상으로 고령거주자의 사업만족도 영향요인과 근린활동 및 사회적관계망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7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5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도시설계·조경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