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0

스마트폰의 주요 사용변수를 고려한 최적 디스플레이 사이즈 결정에 관한 기초연구

Title
스마트폰의 주요 사용변수를 고려한 최적 디스플레이 사이즈 결정에 관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ptimal Display Size Determination Considering Major Usage Variables of smartphones
Author
안재림
Alternative Author(s)
Ahn, Jae Lim
Advisor(s)
박민용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과거에 비하여 점점 커져가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작업수행도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사용용도나 화면방향에 따른 만족도를 구분하는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4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3가지 크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Small, Medium, Large), 가로 (Landscape)및 세로 (Portrait)의 2가지 스마트폰 화면방향 (Orientation), 4가지 사용용도 (Communication Voice, Communication Keyboard, Internet, Entertainment)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작업수행도 (수행 시간, 에러율)를 측정하고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가장 빠른 작업수행시간은 Medium 디스플레이 사이즈에서 나타났고, Medium, Large 디스플레이 사이즈에서 낮은 에러율이 발생하였다. 사용용도에서 Communication Voice인자는 Large 디스플레이 사이즈 보다 Small, Medium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빠른 작업수행시간을 보여주었다. 주관적 만족도는 Medium 디스플레이 사이즈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화면방향 요인은 사용자들이 가로방향보다 세로방향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발생하여, 익숙한 형태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주관적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된 것이라고 추측된다. Large 디스플레이 사이즈에서 사용의 편의성 항목의 주관적 만족도가 가장 높게 평가 되었지만 조작의 단순성에 대해서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조작의 단순성항목의 주관적 평가 결과 세로방향 사용자들이 가로방향 사용자보다 주관적 만족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사용용도와 화면방향 따라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제안함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실제 스마트폰의 설계 단계에서 개발자나 디자이너들에게 최적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사이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Display size of smartphon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decision factors for user satisfac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24 subjects under the condition of three display sizes (3.5˝, 4.5˝, 5.5˝), two different phone orientations (landscape, portrait), and four smartphone objectives (Communication voice, Communication Keyboard, Internet, Entertainment) to evaluate working performance, usage time, error rat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display size 4.5˝ provided the fastest performance, the lowest error rate, and the highest subjective user satisfaction. As a user objective, Communication Voice factor indicated that display size 3.5˝ and 4.5˝ yielded significantly faster working time than bigger display size (5.5˝). The user satisfaction was turned out to be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display size, but the biggest size (5.5˝) showed the lowest manipulating simplicity. The subjective assessment for manipulating simplicity showed signigicant difference on phone orientation, demonstrating that the portrait use was preferred than the landscape use.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al display sizing strategies based on user objectives and phone orientation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 major results from the study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optimal display size at the earlier design stages.; Display size of smartphon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decision factors for user satisfac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24 subjects under the condition of three display sizes (3.5˝, 4.5˝, 5.5˝), two different phone orientations (landscape, portrait), and four smartphone objectives (Communication voice, Communication Keyboard, Internet, Entertainment) to evaluate working performance, usage time, error rat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display size 4.5˝ provided the fastest performance, the lowest error rate, and the highest subjective user satisfaction. As a user objective, Communication Voice factor indicated that display size 3.5˝ and 4.5˝ yielded significantly faster working time than bigger display size (5.5˝). The user satisfaction was turned out to be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display size, but the biggest size (5.5˝) showed the lowest manipulating simplicity. The subjective assessment for manipulating simplicity showed signigicant difference on phone orientation, demonstrating that the portrait use was preferred than the landscape use.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al display sizing strategies based on user objectives and phone orientation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 major results from the study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optimal display size at the earlier design stag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0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